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90시리즈부터 적용된 2세대 센서스를 공부하는데,
자꾸 걸리적 거리는 것이 바로 매끄럽지 못한 '한글' 입니다.
다시 말하면, 영어단어를 우리말로 옮길 때, 현지화의 일환으로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단어로
바꿔야 하는데, 전혀 쓰임새가 어울리지 않은 구석이 몇군데 보인다는 것.

한글화가 처음 적용된 1세대 센서스에서도 국가언어설정에 들어가보면,

쌩뚱맞게 '남한' 이라고 표기되어 있어, 고객분과 함께 이모저모 살펴보면서 실소를 금치못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6개월? 정도 지난 후반기 수입차량에서부터는 '한국' 이라고 표기가 바뀌었죠.
분명 틀린 표현은 아니였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단어의 사용은 아니였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결국 나중에는 수정이 되었습니다.
(센서스를 업데이트 한다고 해서 이 부분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16년도 초기버젼을 구매하신 분은 그냥 끝까지 내 차는 '남한' 용 이라고 생각하심 되겠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2세대 센서스에서도 몇군데 단어선정이 매끄럽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엔진 정지' 라는 용어를 똑같이 써서, 헷갈리게 했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설정항목도 있었습니다.
(2번째 항목은 어떤 기능인지, 아직까지 미스테리)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 신형 2세대 센서스의 한글화에서 또 눈에 거슬리는 한가지 항목이 있었으니,
바로 실내 조명 설정 항목입니다.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첫번째, 두번째 항목이 뭘 의미하는지 불분명하고, 심지어 설정의 예시도 아리송 합니다.
조명을 이야기 하는데, 강도, 레벨 이라는 단어를 우리는 잘 쓰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낮음 / 높음, 감소됨 / 최대가 뭘 의미하는지 바로 눈치채기가 어렵습니다. 

그럼 이 항목의 영어표현은 뭔지 한번 참고로 보겠습니다. (사실 영어 표현도 딱히....)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사전적의미로,
Ambient 주변(주위)의 로서 엠비언트 라이트라는 말은 차량내 실내조명 중 무드등을 지칭할 때 주로
쓰는 말입니다. 차에 관심있는 분들은 익숙히 들어 아는 용어라고 믿습니다.
Intensity : 강렬함, 강함, 격렬함, (향기의)강도 등으로 적혀있습니다.
결국, Ambient Light Intensity 를 사전만까고 번역을 해서, 주변조명강도 라고 한거 같습니다.
그리고 선택항목에, Off / Low / High 가 있습니다. 역시 이를 액면대로 해석 했습니다.  낮게 / 높게...

Ambient Light Level 은 주변조명의 빛의 양을 조절? 한다고 해서 Reduced / Full 이라고 표기했구요.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아...근데, ㅆㅂ 뭔 소리야...

잘 모를때는 그냥 한번 눌러보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눌러봤습니다. 

먼저, 90 의 실내 엠비언트 라이트 (커리시라이트=무드 등...다 비슷한 의미로 자동차에서 쓰이는 말) 는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총 3군데로 간접조명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1. 각 도어패널 중간
2. 전면 데시보드 중간
3. 바닥 매트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첫번째 항목은 위의 3군데 조명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즉, 엠비언트라이트 전체의 밝기를
끄기 : 끄기
낮음 : 중간
높음 : 최대
로 조절 하는 것입니다.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애초 높음에서조차 밝기가 세지 않아서, 높음/낮음의 차이가 미약합니다.


2번째 항목은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바닥 조명을 제외한, 도어와 데시보드 패널의 간접 조명만을 끄는 기능 입니다.

이렇게 한번씩 조작해보니, 이제 감이 옵니다.
그래서 좀 더 매끄럽게 표현을 바꿔 본다면,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이렇게 표현하면 좀 더 직관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나중에는 몇 군데 손 봐주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여담으로, 실내 무드등은 좀 까보겠습니다.

저 스타일의 무드등이 처음 적용된 것이 V40에서부터 였는데,
저 꼬딱지만한 LED 전구가 1열중앙, 2열 C필러상단 양쪽, 그리고 3열 중앙까지
총 4군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색상을 7가지, 혹은 연중 온도에 따라서 자동으로 변화하게끔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빛의 세기가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진심 빈약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래서 불이 색상별로 달라져도,

실내 인테리어의 색감변화를 이끌어 내기 불충분 합니다.
제가 봤을 때는 분위기 조성 효과, 거의 제로라고 봅니다.

북유럽국가 사람들이 지리적인 기후탓에 조명을 다루는 솜씨가 남다르다고 하는데, 이런 설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그냥 제 관점에서는 볼보가 이런 쪽은 독일산 메이커 따라가려면 아직 먼거 같습니다.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실제로 밤에 남의 차 들여다 보니...
와~~~ 와~~~ ....드루와~~~~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

바닥 조명 영어로 - badag jomyeong yeong-eo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