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인복지시설 현황 - seoulsi noinbogjisiseol hyeonhwang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고령화 추세로 인한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자리 잡고 있어 지역노인들의 여가생활을 지원해주는 노인종합복지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도 각 구별로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 27개소가 개관, 운영되고 있으나 공급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지만 노인인구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건립되지 못한 단점을 지니고 있어,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설 현황과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는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종합복지관 5개 시설을 대상으로 각 복지관의 입지 시설특성별 이용현황과 공간구성계획을 살펴본 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를 만족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시설 계획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연구목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서울시 내 입지별 특징이 두드러지는 노인종합복지관 5개소를 대상으로 도면, 관찰, 면담,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크게 입지와 주변과의 관계, 건축물 배치와 외부공간 활용현황, 내부공간 구성, 이용자 특성과 요구사항을 통해 활용현황과 계획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나온 문제점과 시사점을 반영하여 노인종합복지관의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노인종합복지관을 분석관점에 따라 조사한 세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복지관을 계획할 때 입지별 현황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주변과 물리적 관계에 따라 복지관의 성격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복지관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 대중교통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대중교통 거리에 따라 이용자가 느끼는 편리성이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세 번째, 외부공간은 의도적으로 별다른 장치가 계획요소가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복지관 이용자와 그 외 외부노인들에 의해 주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네 번째, 내부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는 것과 기능별로 분리하고 구성하여 이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섯 번째, 각 실별 면적은 이용자의 수요에 의해 변경된 공간구성에 따라 차이를 드러내고 있으며, 서울시 운영규칙에 명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례별로 이용자의 선호도가 낮은 실은 축소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 번째, 시설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활용현황과 요구사항에 의해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용자의 선호도와의 연관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으로,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제안한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계획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은 행정구역상 1구 1개소 설치가 아닌 실질적 사용권 조사에 따라 융통성 있게 배치한다.
두 번째, 복지관 기능 중에서 재가복지 부문의 경우는 다른 기능의 공간과 따로 독립하여 사용하도록 계획한다.
세 번째, 일반 보행자 동선과 차량동선을 엄격히 분리하여 신체안전을 물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네 번째, 옥외공간은 실내에서 할 수 없거나 적절치 못한 활동들을 광범위하게 걸친 특유의 자극적인 활동 기회의 장으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다섯 번째, 주변시설과의 물리적 연결을 통한 시설부족의 단점을 보완한다.
여섯 번째, 기능별로 정적인 공간과 활동적인 공간에 대한 분리·통합에 관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 번째, 수직 동선 체계인 계단과 엘리베이터의 위치는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자리에 위치하도록 하고 면적 대비 개수를 산정하여 계획하도록 한다.
여덟 번째, 비슷한 기능의 공간은 오픈 플랜으로 계획하여 가변성 있게 활용되도록 한다.
아홉 번째, 복지관 내부 층별로 기능을 분리해줌으로써 이용자 동선을 축소시키고, 방문 시 인지가 쉽도록 해 준다.
열 번째, 썬큰, 천창, 계단실 발코니 등을 설치하여 복지관 내부의 채광과 환기를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시설과의 복합화가 아닌 기존 시설을 개조·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이 실질적 사용권 범위에 따라 합리적인 활용현황이 진행되도록 계획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의 입지별·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복지관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여 노인들이 가장 적합한 복지·문화의 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Recently, an elderly problem has become a serious social one in Korea due to a sharp growth of senior citizen's population. As a result, an importance of senior welfare center which has helped local senior citizens to enjoy comfortable and healthy lifestyles has emerged. So far, Seoul government has developed and operated 27 welfar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However, they are still not satisfactory considering the aged population and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paper has investigated senior selfare centers in Seoul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facilities and requirements.
This paper has aimed to suggest basic data for decent senior welfare center after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and efficiency of 5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this study, plan, observatio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gainst 5 Seoul senior welfare facilities. Then, their current use and planned meaning were analyzed through investigation on the site, the relation with neighbors, location, use of external space, structure of internal space, and users' characteristics & requirement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the specific analysis on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has turned out as follows: First, the site condi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planning the welfare cen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are formed through physical relation with neighbors. Second, an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is very important in deciding a location of the welfare center. Actually, it has turned out that users' convenience was very related with th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ird, even though there was no particular plan for external space, the space has been properly used by the facility users and other senior citizens. Fourth, for efficient use of internal space, it has turned out that it's important to reflect local features as much as possible and minimize the users' moving distance. Fifth, a size of the internal space varied depending on users' demand. The internal space that has been ignored by users needs to be reduced. Sixth, the facility program has been used depending on users' use and requirements. However, it showed a low relevance with users' preference.
As mentioned above, the suggestions on the future plan directions of Seoul senior wwelfare cent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nior welfare center should be flexibly installed where required, not just 1 center per district, Second, in case of domiciliary welfare, the facility should separately used. Third, pedestrian walkway should be strictly separated from the road for physical safety and mental stability. Fourth, the outdoor space should be used for comprehensive outdoor activities. Fifth, in connection with neighboring facilities, the disadvantages of the center should be complemented. Sixth, there should be a plan for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calm and active space by function. Seventh, a proper number of stairs and elevator should be located at a place where many people come and go. Eighth, the space with similar function should be flexibly used. Ninth, each function should be separated by floor for users' convenience. Tenth, the interior lighting and ventilation should be properly controlled through window tinting, stairway balcony, and other necessary actions. Lastly, how to remodel and utilize current facilities rather than integrating with local facilities should be reviewed.
This paper has suggested future plan directions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for better efficiency. I hope that this paper would be us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by location, find and resolve their problems, and ultimately develop them into the best welfare and cultural space for senior citiz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