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 인대 위치 - pal indae wichi

팔꿈치 내측인대 파열

1. 팔꿈치 내측인대 파열이란?


    팔꿈치 관절은 내측과 외측에 각각 인대가 있어 외반력과 내반력에 저항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해준다. 내측 인대는 야구공을 던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반력에 저항하는 주된 안정체(primary stabilizer)로 작용하며 세개의 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질환은 일반인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야구 선수 특히, 투수들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팔을 뒤로 최대한 제꼈다가 앞으로 뻗는 동작에서 팔꿈치의 내측 인대에 가장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게 되면 인대 파열에 이르게 됩니다. 

2. 증상


“공을 던질 때 구속이 떨어지고 팔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요”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있고 누르면 아파요”


    반복되는 투구 동작으로 인해 내측 인대에 염증과 염좌가 발생하게 되면 인대가 붙는 위치인 팔꿈치 내측에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증상이 지속되어 인대가 파열되게 되면 투구시 팔꿈치에 힘이 들어가지 않으며 구속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3. 치료

    * 휴식 및 보조기 치료
    * 관혈적 인재 재건술

    초기 인대 염좌의 단계에서는 운동을 쉬고 보조기를 착용하여 내측 인대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운동으로 인대가 파열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은 피부 절개를 통해 파열된 인대를 확인하고 없어도 반대측의 장장근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장장근은 일반인에서도 없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제거한다 하더라도 일상 생활과 운동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 근육의 건을 이용하여 재건을 시행하게 됩니다. 재건술 후에는 보조기를 통해 지속적인 운동 범위를 확대하게 되며 근력 운동을 병행하게 약 9개월 후에는 운동에 복귀할 수 있습니다.


< 위 컨텐츠는 어깨통증으로 고생하는 분들을 위해 박진영네온정형외과에서 만든 고유 저작물로 무단 도용을 금지합니다.>



 

60대 초반이며, 넘어져서 팔을 다쳤습니다.

병원 가서 진단을 받아 보니, 좌측 주관절 내측 측부인대 파열

그리고 좌측 주관절 내측 근육부분 파열, 좌측 상완골 원위부 골좌상이라고 합니다.

일단 깁스를 하고 열흘정도 지난 후, 다시 병원을 갔는데,

약간의 차도는 있으나 수술을 해야할지 아니면 물리치료를 하면서

계속 상태를 지켜볼지 확신이 서지 않아서요.

1. 위 진단의 경우 수술 없이 물리치료만으로도 회복할 가능성이 있나요?

2. 물리치료만으로 가능하다면 기간은 얼마나 걸릴까요?

3. 수술을 하게 될 경우 회복기간이 6개월 정도라고 하는데, 그 기간동안 계속 깁스를 해야 하나요?

4. 수술하고 나서 후유증이 있나요?

--------------------------------

1. 팔인대파열 중에서도 내측 측부인대 파열의 경우

인대파열이 완전 파열일 경우는 봉합술 수술을 하시면 되겠으나

부분적 파열의 경우는 비수술적 치료를 하시면 됩니다.

2. 팔꿈치 인대파열의 경우 수술이나 비수술이나

고정기간은 3개월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3. 팔꿈치 인대파열이 불안정성이 너무 심해서

빠져나오는 현상이 있다면 수술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팔인대파열 주관절은 굴곡과 신전 그리고 회내전과 회외전 운동이 있어

손의 위치를 잡아주는 데, 굴곡과 신전은 척 상완 관절과 요상완 관절에서,

회내와 회내는 요척 관절에서 일어난다.

또한 팔인대파열 주관절은 지렛대의 받침 역할을 하는데 이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물체를 머리 위로 올려 던지거나 팔굽혀 펴기 동작을

할 경우이다.

팔인대파열 주관절은 일종의 경첩 관절로 알려져 있고 이 경첩의 축은

활차의 중심과 소두의 중심을 연결하는 횡축으로 이해된다.

팔인대파열 정상 주관절은 완전 신전 위치에서 약 150도의 굴곡이 가능하다.

그런데 굴신 축은 상완골의 종축에 대해 경도의 외측 경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전완부의 종축은 상완골의 종축에 비해 외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운반 각이라 하며 정상에서 0-20도 정도이다. 이 운반 각은 팔인대파열

주관절을 완전히 굴곡하면 전완골이 상완골에 비해 오히려 내측에 와 있어

손이 입을 향하게 된다.

팔인대파열 주관절의 굴곡 신전 운동 범위는 완전 신전 위치인 0도에서

150도까지이고,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능적 운동 범위는 30-130도이다. 

[더,오래] 유재욱의 심야병원(64)

팔꿈치 통증(2) 

“테니스 엘보입니다. 가능하면 덜 쓰셔야 돼요.”
“아니 선생님 제가 골프 약속이 잡혀있어서요. 이번만 어떻게 안 될까요?”
“그랬다가는 통증이 심해질 수도 있어요.”
“제 친구는 저랑 비슷하게 아픈데도 골프를 계속 치는 데도 그냥 좋아졌던데요?”
“친구가 그렇다고 해서 환자분도 그럴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최대한 안 할 테니 방법을 알려주세요.”
“일단 연습장은 가지 마시고, 필드만 나가세요. 필드에서는 한 시간에 풀스윙을 10번 정도 하지만, 연습장에서는 200회도 넘게 하게 되니까요. 그리고 겨울은 땅이 얼어있어서 충격이 크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한번 치면 반드시 3일은 쉬는 기간을 두고 다시 쳐야지 연달아 치시면 금방 재발합니다.”
“집에서 팔꿈치가 아플 때는 핫팩이 좋을까요? 콜드팩이 좋을까요?”
“일단 골프를 친 다음에 통증이 생기면 3일 동안은 콜드팩이 유리합니다. 그다음에 핫팩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좋은 재활방법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팔 인대 위치 - pal indae wichi

1. 팔꿈치 마사지

팔꿈치 통증이 있을 때 마사지를 하라고 하면 대부분 통증이 있는 팔꿈치 부분을 마사지한다. 하지만 손상된 팔꿈치 부분을 강하게 마사지했다가는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통증이 있는 부분은 가급적 마사지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반면 팔뚝부분 근육은 반드시 마사지해야 한다. 팔뚝 근육은 팔꿈치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갑옷 역할을 하는 곳으로 만약 팔꿈치에 통증이 있다면 반드시 다치는 곳이기도 하다. 다쳐서 기능이 떨어진 상태에서 팔꿈치가 안 아프다고 바로 사용하면 바로 재발하고 만다. 그러므로 팔뚝에 통증이 없다 하더라도 팔꿈치가 아프면 팔뚝을 마사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30회 정도 마사지를 하루 2회 이상 2주 정도 하면, 근육을 눌러도 통증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단계가 된다. 이때부터는 강화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2. 강화운동

마사지를 해 손상된 근육과 근막이 진정되더라도 근육의 기능이 돌아오지 않으면 갑옷을 입지 않고 맨몸으로 다시 전쟁터에 나가는 것과 같아서 바로 재발하게 된다. 기능이 떨어지면서 잃어버린 근력을 강화운동을 통해 되찾아야 한다. 팔꿈치에 통증이 심할 때는 굳이 심한 운동을 하기보다는 500cc 생수통을 들고 1분을 버티는 운동으로 충분하다.

10회씩 반복하고 3세트 한다. 강화운동을 4주 정도 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3. 스트레칭은 할 때는 인대를 잡고 해야 한다.

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부분 힘줄은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탄력을 잃고 늘어나 있고, 팔뚝 근육은 짧아져서 제 기능을 못 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스트레칭을 하면 힘줄 부분이 더욱 당겨지면서 증상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팔뚝 근육을 스트레칭을 할 때는 반대편 손의 검지와 중지 두 손가락으로 팔꿈치 부분 1인치를 잘 고정한 다음에 스트레칭을 해야 한다. 긴장된 팔뚝근육은 스트레칭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거북목, 라운드 숄더 등에 팔을 내회전시키는 자세는 신전근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엘보 통증을 악화시킨다. 우리가 하루 종일 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엘보밴드

팔꿈치 통증이 있을 때 착용하는 보조기를 엘보밴드라고 한다. 엘보밴드는 팔꿈치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서 팔꿈치 통증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엘보밴드는 착용하는 위치가 중요한데 팔꿈치에 차는 것이 아니라 팔뚝에 차는 것이다.

재활의학과 의사

팔 인대 위치 - pal indae wichi

관련기사

팔 인대 위치 - pal indae wi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