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솔린 기관 의 노킹 방지책 - gasollin gigwan ui noking bangjichaeg

노크란 실린더 내의 연소에서 화염면이 미연소가스에 점화되어 연소가 진행되는 사이에 미연소의 말단가스가고온과 고압으로 되어 자연 발화하는 현상이다.

노크가 발생하면 화염 전파 속도는 300~2500m/sec(정상 연소 속도는 20~30m/sec인 것에 비해 매우 빠르다.)

노크가 엔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① 연소실 내의 온도는 상승하고 배기가스의 온도는 낮아진다.

② 최고 압력은 상승하고 평균 유효압력은 낮아진다.

③ 엔진의 과열 및 출력이 저하된다.

④ 타격 음이 발생하며, 엔진 각부의 응력이 증가한다.

⑤ 노크가 발생하면 배기의 색이 황색 또는 흑색으로 변한다.

⑥ 실린더와 피스톤의 손상 및 고착 발생

노크 발생의 원인

① 엔진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② 엔진이 과열되었거나 적열된 열원이 있을 때

③ 점화시기가 너무 빠를 때

④ 혼합비가 희박할 때

⑤ 저옥탄가의 가솔린을 사용하였을 때

⑥ 엔진의 회전속도가 낮아 화염 전파속도가 느릴 때

⑦ 제동 평균 유효압력이 높을 때

⑧ 흡기 온도 및 압력이 높을 때

1. 가솔린 노크(Gasoline Knock) 방지법

① 고옥탄가의 가솔린(내폭성이 큰 가솔린)을 사용한다.

② 점화시기를 늦추어 준다.

③ 혼합비를 농후하게 한다.

④ 압축비, 혼합 가스 및 냉각수 온도를 낮춘다.

⑤ 화염 전파 속도를 빠르게 한다.

⑥ 혼합 가스에 와류를 증대시킨다.

⑦ 연소실에 카본이 퇴적된 경우에는 카본을 제거한다.

⑧ 화염 전파 거리를 짧게 한다.

2. 디젤 노크(Diesel Knock) 방지법

① 착화성이 좋은(세탄가가 높은) 연료를 사용한다.

② 압축비, 압축압력 및 압축온도를 높인다.

③ 엔진의 온도와 회전속도를 높인다.

④ 분사 개시 대 분사량을 감소시켜 착화 지연을 짧게 한다.

⑤ 분사시기를 알맞게 조정한다.

⑥ 흡입 공기에 와류가 일어나도록 한다.

노크(knock)란 비정상적인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급격한 압력상승 때문에 실린더

내 가스가 진동, 피스톤/크랭크기구에 부하를

가하여 발생시키는 충격적인 타음(打音)을

말한다. 노킹(knocking)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디젤노크 [diesel knock]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2 - 자동차디젤기관,

 2011. 4. 10., 도서출판 골든벨)

가솔린 기관 의 노킹 방지책 - gasollin gigwan ui noking bangjichaeg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디젤기관의 연소실에 연료가 분사되면서

점화(點火)하기까지의 시간이 길면 연소실

내의 연료량이 많아지므로 점화했을 때

한꺼번에 다량의 연료가 연소하여 그 결과

급격한 압력상승이 일어나 노크음(音)이

생긴다.

세탄값이 낮고 연소성이 나쁜 연료는 노크의

원인이 되며, 같은 연료라도 기관이 냉각되어

있을 때는 노크가 많이 생긴다.[네이버 지식백과]

디젤노크 [diesel knock] (두산백과)

디젤 기관의 착화가 지연될 경우,

피스톤 하사점에 거의 다 이르러서 자기 착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다량의 연소가 한꺼번에

연소하면서 피스톤이 실린터를 때리며 knock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가솔린 기관 의 노킹 방지책 - gasollin gigwan ui noking bangjichaeg

*4행정/2행정 디젤엔진 사이클, 출처 : 두산백과

연소초기의 급격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면

노크는 경감된다. 즉, 연소초기 폭발적인

연소에 관여하는 혼합기량을 감소시키면

된다. 즉, 착화지연을 단축시키고, 착화지연

기간 동안의 분사량, 증발, 혼합 등을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젤노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다음과 같다.

① 연료의 착화성 (세탄가)

② 연소실 형상

③ 압축비(ε)

④ 연소실벽 온도(T)

⑤ 회전속도(n)

⑥ 기관의 부하

⑦ 분사시기(θ)

⑧ 분사율(dm/dθ)

⑨ 분무의 상태

디젤노크(diesel konck) 경감대책은 다음과

같다.

연료의 착화성을 개선한다.

    - 고 세탄가 연료를 사용한다.

연료의 착화성이 높으면 착화지연은 단축된다.

분사 시 공기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 예열시간 제어

급기 또는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그러나 급기온도의 상승은 충전률을 저하시켜,

부하가 낮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능 측면에서

 불리하다.

연소실벽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예를 들면 M형 연소실의 경우, 분무속이

충돌하는 부분의 온도가 높아야 한다.

또 간접분사방식에서는 전체적으로 연소실벽

 온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동 시에는

연소실벽 온도가 전체적으로 낮기 때문에

연료의 기화성이 중요하다.

압축비를 높게 한다.

압축비가 높으면 압축온도와 압축압력이 함께

상승하므로 노크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압축비를 높이면 기관 각부의 기계적/열적

부하증대, 최대압력 상승, 기계효율 저하,

그리고 기동토크의 증가 등 부정적인 요소가

 수반된다. 따라서 압축비는 제한된다.

착화지연기간 중의 분사량을 적게 한다.

    - 파일럿 분사(pilot injection) ;예분사

주 분사에 앞서 소량의 연료를 먼저 분사하여,

이 소량의 연료가 착화한 다음에 주 분사가

이루어지게 하면 폭발적인 연소에 관여하는

연료량은 감소한다.

분사시기를 제어한다.

참고로 가솔린노크는 착화지연이 짧기 때문에,

디젤노크는 착화지연이 길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노크 방지 대책도 서로 반대가 된다.

노크 경감 요소

디젤기관

가솔린기관

압축비

높게

낮게

연소실 체적

크게

작게

연소실 벽 온도

높게

낮게

급기 온도

높게

낮게

급기 압력

높게

낮게

회전속도

낮게

높게

연료의 착화지연

짧게

길게

연료의 착화온도

낮게

높게

[네이버 지식백과]디젤노크 [diesel knock]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2 - 자동차디젤기관,

2011. 4. 10., 도서출판 골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