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컴퓨터를 구입하거나 조립을 완료한 후에 당황스러웠던 경험이 한 번씩은 있으셨을 겁니다.

저는 가장 당황스러웠던 경험은 모니터에 신호가 없거나 모니터에 화면이 출력되지도 않고 부팅도 되지 않을 때입니다.

컴퓨터 조립을 20년 정도 했지만 제법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제가 컴퓨터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곳저곳 다니면서 해결하고 혼자서 터득했던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부팅과 모니터 신호 없음 증상은 대부분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적은 실수 하나가 컴퓨터를 삐치게 해 화면을 보여주지 않는 거죠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모니터 신호 없음 증상

컴퓨터 본체는 클린 하게

본체 뒤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선을 다 뽑는 게 좋습니다.

모니터와 그래픽카드 또는 내장 그래픽 단자에만 모니터 연 겨 선을 연결하고 나머지 선들은 제거합니다.

usb 포트의 고장 또는 미세한 전기가 흐르거나 접지 불량 등등 이유가 너무나 많습니다.

마우스, 키보드, 게임패드, 각종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들이 호환 문제로도 모니터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장착하면서 테스트를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모니터 전원 버튼을 눌러 줍니다.

모니터를 구입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들어오는 모델들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구입하면 전원 버튼을 누르고 컴퓨터 전원을 넣어야 합니다.

평소 습관이 무서운 겁니다.

생각보다 이 부분을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니터 입력신호 확인

내가 hdmi 케이블, rgb 케이블, dvi 케이블, dp 케이블 중 사용하는 케이블이 무엇인지 기억합니다.

자동으로 잡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수동으로 모니터 osd를 이용해서 잡아줘야 하는 모니터도 있습니다.

가장 실수하는 부분

모니터 전원 케이블을 모니터에 끼울 때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전과 다르게 모니터들의 허우대가 커져서 전원 케이블을 장착하기가 많이 힘들어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끝까지 밀어 넣질 못하는 실수를 많이 합니다.

그러면 모니터 화면에는 못생긴 제 얼굴만 보이게 됩니다.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이제 조금 디테일한 방법으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컴퓨터 부팅이 안될 때

파워서플라이 전원 버튼 확인

파워서플라이 전원 버튼을 실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O 이게 끄는 건지 ㅡ 이게 맞는 건지... 여기서 정리합니다. ㅡ 이게 켜지는 겁니다.

올바른 방향으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도 모니터 화면이 들어오질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다시 O으로 버튼을 옮긴 후 내부에 남아있는 전류를 없애는 작업을 해줍니다.

(전원 케이블을 제거하고 본체 전원 스위치를 사정없이 10번 이상 누릅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 와 충돌 원인

부팅이 안되면 이것저것 볼 것 없이 바로 바이오스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바이오스 초기화를 마친 후 전원을 넣고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정상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컴퓨터에 이상이 있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포스팅 중간 부분에 바이오스 초기화 방법이 있습니다.

조립할 때 간단한 실수

파워 서플라이에서 전원 케이블은 2개가 존재합니다.

하나는 딱 보아도 장착하는 곳이 보이는 24핀 케이블 또 하나는 cpu 전원 연결선입니다.

cpu 전원 선은 4핀 또는 8핀이 일반적이며 cpu 전원 선을 장착하지 않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많이 실수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꼼꼼히 보면서 조립했다고 생각하고 부팅을 했는데 도무지 되질 않는 겁니다.

메인보드에 부착한 부품들을 하나하나씩 살펴보고 테스트했지만 원인을 몰라 포기할 때 즈음

cpu 전원 케이블이 눈에 보이는 겁니다. 왜 보이는 걸까요? 왜........ 이제서야..

tip? cpu를 장착할 때 너무 큰 장력은 부팅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너무 강하게 조이시지 말고 적당히 돌리시면 됩니다.

메인보드 장착 부위에 이물질이 있을 때

사용하던 컴퓨터보다 새로 컴퓨터를 조립하거나 새로 컴퓨터를 구입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메인보드에 부품을 장착할 때 부품에 묻어있던 이물질들이 부품 단자 안쪽으로 들어가는 경우입니다.

기막힌 타이밍으로 메인보드 슬롯에 이물질이 들어갑니다.

제가 고등학교 때쯤 컴퓨터를 조립할 때 과자를 먹으면서 조립을 하게 된 것이 화근이 된 적이 있습니다

컴퓨터를 조립할 땐 경건한 마음으로 깨끗한 라텍스 장갑을 착용하고 조립하시길 권장합니다.

램으로 인한 부팅 문제

랜슬롯을 듀얼로 하는 것이 컴퓨터 성능에 있어 좋습니다.

듀얼 장착된 랜슬롯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부팅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부팅 문제가 램슬롯에서 발생한 것 같다면 램을 하나하나씩 장착하면서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1~3슬롯에서 2~4슬 롯으로 듀얼 위치를 변경하시는 방법으로도 테스트를 해봅니다.

랩 장착이 덜 되었을 때도 부팅이 안됩니다.

랩 장착이 잘되어 있는지도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지우개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해 봅니다.

어렸을 적 게임팩과 같이 그 부위에 지우개로 문지르시면 됩니다.

문지르실 때 랩 반도체는 절대 건드리시면 안 됩니다.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어서 지우개로 지우다 반도체까지 날려먹어 as도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그래픽카드가 원인

그래픽카드의 접촉불량

램과 같이 접촉불량이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우개 또는 에어브러시 등을 이용해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장착해 봅니다.

외장 그래픽의 연결

외장 그래픽을 장착한 후 그래픽 후면에 모니터 연결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그래픽카드가 아닌 메인보드에 달려있는 내장용 포트에 모니터 연결선을 연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의 전원 선 부재

위 사진처럼 가벼운 그래픽카드들은 보조전원핀이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상의 그래픽카드들은 보조전원핀을 장착해주어야 합니다.

6핀이면 6핀 전부를 장착해야 하며 남아있는 슬롯이 있으면 안 됩니다.

팬은 돌지만 모니터에 신호 없음을 경험하시게 됩니다.

그래픽카드 슬롯을 변경해봅니다.

요즘 메인보드 들은 엔비디아 Scalable Link Interfac (slc) 라데온 CrossFire (cf) 지원하는 메인보드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 슬롯이 기본적으로 2개가 존재합니다.

그래픽카드 슬롯이 불량일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밑에 있는 그래픽카드 슬롯으로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후 테스트를 해봅니다.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파워서플라이 이상으로 부팅이?

당연한 사실이지만 파워서플라이에 이상이 생기면 컴퓨터는 부팅되지 않습니다.

부팅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컴퓨터 부품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장착 연결선

대부분 그래픽 보조 전원 선은 보조전원 선 하나에 2개의 보조핀이 일반적입니다

만들어진 데로 사용하면 이상 없이 사용하면 좋겠지만 간혹 그래픽카드 전력이 꿀돼지인 놈들이 있습니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파워가 간당간당 하면 전력 많이 먹는 그래픽카드들은 보조선을 따로따로 두 개의 보조선으로 연결합니다.

하나 알파 2개가 아닌 하나하나 각각의 보조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해 줍니다.

이럴 땐 전력이 높은 파워를 변경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파워 약한 파워서플라이는 컴퓨터의 많은 에러를 가져옵니다.

파워 전원 선 불량 및 장착 불량

파워 전원 선이나 전원 선들이 고장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파와 선은 있는 힘껏 장착하시는 게 좋습니다.

파워서플라이에 따라서 전원 선 꼽는 곳이 짧거나 엄청 깊은 파워들이 존재합니다.

깊은 파워서플라이들은 다 들어간 것 같은데 안 켜지는 경우 또 한 번 밀어 넣으면 부팅이 됩니다.

파워서플라이 팬이 안 돌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원인입니다.

초기 불량으로 팬이 팬 가이드에 걸려 돌지 않으면 부팅이 되다 갑자기 꺼져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아예 팬이 돌지 않아 높은 열로 인해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팬이 걸리거나 팬이 안 돌게 되면 간단한 문제 같아서 본인이 고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 마음대로 파워를 분해하면 as가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팬 가이드에 걸려 안도는 팬을 돌게 만든다고 파워서플라이를 아예 만신창이를 만들기도 합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파워는 혼자서 어떻게 할 수 있는 부품이 아닙니다.

팬이 고장이라도 바로 as를 보내는 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기타 다른 문제로 인한 부팅 문제

케이스의 이상 전류 문제

케이스의 미세하게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메인보드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쇼트도 자주 발생합니다.)

대부분 파워에 문제가 있을 시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되지만 이유를 알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만약에 부팅이 안되는데 케이스에 손을 대보니 억! 어 버버 하시게 되면 바로 파워 버튼을 내리시고 누트 테스트에 들어갑니다

누드 테스트 때 전혀 이상 없이 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정상적으로 부팅이 됐다면 케이스 안에서 원인을 찾으시면 됩니다.

메인보드와 케이스의 접촉부분은 없었는지 파워 연결선들이 피복이 벗겨져있거나 단 부분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조립을 다하고 컴퓨터에 이상이 생기면 너무 고생스럽습니다.

누드 테스트는 케이스에 넣기 전 가장 중요한 테스트입니다.

컴퓨터 조립 후 모니터 신호없음 - keompyuteo jolib hu moniteo sinho-eobs-eum

메인보드의 패널 케이블 이상

전원 버튼 케이블을 하드 패널에 끼우거나 잘못된 자리에 끼우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른 하드, HDDLED, 케이블들은 잘못 끼우게 돼도 크게 잘못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파워 스위치 케이블은 틀립니다

잘못 끼우면 아예 컴퓨터 부팅이 안됩니다.

흔하게 하는 실수입니다.

각종 컴퓨터 부품 케이블 문제

최종적으로 이것저것 다해 받는데 부팅은 안되고 모니터에 화면이 나오질 않으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 봅니다.

하드의 사타 케이블 장착은 잘되어 있는지, 모니터, 컴퓨터 전원 선들은 고장이 없는지. 전원 선들과 케이블을 확인합니다.

멀티탭 콘센트까지 확인을 하시면 좋습니다.

해볼 만큼 다했는데 안되면 AS 보내면 됩니다.

가장 빠르고 가장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