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티라노사우루스 - hanbando tilanosauluseu

‘한반도 공룡 시대’의 그림을 좀더 세밀하게 그려주는 고생물 연구가 활발하다. 중생대 백악기 공룡의 모습을 오늘날 고생물학자들이 추측하는 데 쓰는 중요한 단서는 공룡 뼈, 이빨, 발자국, 알 화석들이다. 한반도는 백악기 공룡 발자국과 알 화석이 많기로 유명한 곳인데, 이에 더해 최근엔 공룡 이빨 화석도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최근 백악기 전기인 1억 년 전의 상황을 보여주는 파충류의 이빨 화석들이 국내 학술지에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가운데 한 점은 국내에서 발견된 적이 없는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의 것으로 추정됐다.

현직 교사인 윤철수(대구 경덕여고·고생물학 박사), 백광석(경남 서상고 교장), 정영현(경남 거창중)씨는 19일 “지난 6, 7년 동안 백악기 전기 지층인 경상분지와 남해안 일대에서 공룡 이빨 5점, 익룡 이빨 2점, 원시악어 이빨 5점의 화석을 발견했으며 이 가운데 한 점은 다중톱니 구조가 발달한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런 발굴 성과는 국내 학술지 <고생물학회지&amp;amp;gt; 최신호에 보고됐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그동안 국내 고생물학계에서는 파충류 이빨 화석으로, 1995년 초식공룡 키이유사우루스의 이빨이 발견된 이래 육식 알로사우루스, 초식 이구아노돈 등의 이빨이 몇몇 발견됐는데, 이번엔 티라노사우루스, 메갈로사우루스, 디플로도쿠스를 비롯해 여러 공룡 이빨들이 무더기로 한반도 공룡 화석의 목록에 추가됐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이 이빨 화석들은 경북대 사범대 동문인 세 사람이 2000년부터 틈틈이 바닷가와 도로공사장 등에 드러난 백악기 퇴적층에서 발굴한 것들이다. 세 사람은 최근 함께 모여 자신들이 발견한 이빨 화석들과 이미 학계에 보고된 이빨 화석의 특징을 비교해 이빨의 주인을 가려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의 것으로 추정되는 화석인 다중톱니 이빨이다. 길이 7.7㎜의 작은 이 이빨을 발견한 윤 교사는 이것이 누구 이빨인지 식별하는 데 애를 먹었다고 했다. 그는 대부분 육식공룡의 이빨엔 ‘이중’ 톱니가 있는데 이 화석엔 특이하게 이빨의 앞뒤와 옆면에 모두 여섯 줄의 ‘6중’ 톱니가 나 있는 점을 기이하게 여겼다. 육식에 도움이 될만한 또렷한 톱날이 길이 1㎜당 7개 정도의 밀도로 가지런이 나 있었다. 그는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의 이빨이 기형적으로 다중톱니 구조를 지니기도 한다는 다른 연구논문을 알게 된 뒤에야 이 이빨의 주인이 티라노사우루스의 것일 가능성을 생각해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그는 “비교 분석을 해보니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의 이빨임이 확실하다고 믿지만 근거가 이빨 하나뿐이어서 논문에서는 ‘잠정적 분류’라는 결론을 제시했다”고 아쉬워했다. 그가 지목한 티라노사우루스는 널리 알려진 백악기 후기의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는 다소 다르며, 이보다 수천만년 앞서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좀더 작은 몸집의 티라노사우루스류의 한 종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학계에선 이빨의 주인을 티라노사우루스로 ‘확정’하는 데엔 더 많은 논의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도 나온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div class="image-area"&amp;gt; &amp;lt;div class="imageC" style="width:510px"&amp;gt; &amp;lt;div class="image"&amp;gt; &amp;lt;img src="//img.hani.co.kr/imgdb/resize/2007/0920/04510978_20070920.JPG" style="width:510px" title="초대형 익룡인 케아라닥틸루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빨화석. &amp;amp;lt;고생물학회지&amp;amp;gt; 제공" alt="초대형 익룡인 케아라닥틸루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빨화석. &amp;amp;lt;고생물학회지&amp;amp;gt; 제공" /&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desc" style="width:510px"&amp;gt;초대형 익룡인 케아라닥틸루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빨화석. &amp;amp;lt;고생물학회지&amp;amp;gt; 제공&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익룡의 이빨 화석도 흥미롭다. 길이가 7㎝나 되는 이 이빨은 지금까지 보고된 익룡 이빨 중에서 가장 길다고 한다. 가늘고 길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엔 세로 방향의 줄무늬가 나 있다. 세 사람은 이 화석을 익룡 케아라닥틸루스의 이빨로 추정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윤 교사는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익룡이 호수 위를 날다가 물고기를 발견하면 낙하해 아래턱과 위턱의 이빨을 마치 깍지 끼듯이 먹잇감의 살을 깊이 파고 들게 찔러 낚아챘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빨의 세로 줄무늬는 어떤 기능을 했을까? 아마도 먹잇감을 썰거나 자르기보다는 물고기의 살을 좀더 깊숙이 파고들게, 또는 옆으로 비틀리지 않게 하는 구실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이들이 발굴한 이빨 화석에는 다른 육식공룡인 메갈로사우루스의 것도 포함됐다. 역시 매우 규칙적이고 조밀한 이중톱니를 갖추고 있다. 또 일부 이빨은 우리한테 낯익은 모습의 초식공룡 디플로도쿠스와 브라키오사우루스의 것으로 분류됐다. 육식공룡의 이빨이 대체로 납작하고 다소 휘어져 있으며 톱니 구조가 잘 발달한 반면에, 초식공룡의 이빨은 밋밋하고 끝이 뭉툭하며 톱니구조가 없다는 특징이 이 논문에서 다시 확인됐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메갈로사우루스와 브라키오사우루스 이빨을 발견한 백광석 교장은 “과학고 교사 때부터 공룡의 발자국, 뼈, 이빨 화석들을 여럿 발견했다”며 “이번에 보고된 여러 이빨 화석들로 볼 때에 백악기 전기 경상분지의 강·호수와 주변에는 다양한 종의 초식·육식공룡과, 익룡, 악어들이 살았으며 여러 이빨 구조를 갖춘 파충류들의 먹이 습성도 다양했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hr /&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b&amp;gt;초대형 익룡 이빨 화석 발견&amp;lt;br /&amp;gt;포클레인 기사가 ‘1등 공신’&amp;lt;/b&amp;gt;&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2002년 11월께 어느 도로공사장에서 익룡 이빨 화석을 채집했을 때의 일이다. 당시 이른 아침에 도착해 공사장 근처에서 조개화석이 눈에 띄어 몇몇 화석을 채집하고 있었다. 그 때 주변에 있던 일꾼 한 명이 다가왔다. “여기서 뭘 합니까?” “예, 화석 캐고 있습니다” “무슨 화석이…?” “예, 조개화석이 나옵니다.” 그러고는 몇 점의 조개화석을 보여주었다. “야! 신기하네요. 조개가 물에 살텐데 어떻게 산에 있는 암석에 조개가 박혀 있지요?” “아, 여기는 1억년 전에 호수와 같은 물속이었답니다. 호수 밑바닥의 퇴적물이 다져지고 굳어지고 지각 변동으로 융기해 지금은 육지와 산이 돼 있지요?” 그제서야 조금 이해가 된 듯 잠시 다른 쪽으로 가더니 포크레인을 끌고와선 암석이 드러난 부분을 몇 번 긁어주었다. 그 때 떨어진 암석 조각들 속에서 가장 길고 호리호리한 초대형 익룡 이빨 화석을 발견했다. 지금도 화석에 호기심이 많았던 어느 포크레인 기사의 도움을 정말 인상적으로 기억하고 있다.”(윤철수 교사)&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오철우 기자 &amp;lt;a href="mailto:"&amp;gt;&amp;lt;/a&amp;gt; &amp;lt;p align="justify"&amp;gt;&amp;lt;/p&amp;gt; &amp;lt;/div&amp;gt; &amp;lt;div title="관련기사" class="relation-tyA"&amp;gt; &amp;lt;h5&amp;gt;관련기사&amp;lt;/h5&amp;gt; &amp;lt;ul class="list"&amp;gt; &amp;lt;li&amp;gt; &amp;lt;a href="/arti/science/science_general/237712.html"&amp;gt; &amp;lt;span class="photo"&amp;gt;&amp;lt;img src="https://img.hani.co.kr/imgdb/thumbnail/2007/0920/04511068_20070920.JPG" alt="육식공룡들은 왜 뒤꿈치를 들고 다녔을까" title="육식공룡들은 왜 뒤꿈치를 들고 다녔을까" /&amp;gt;&amp;lt;/span&amp;gt; &amp;lt;span class="tit"&amp;gt;육식공룡들은 왜 뒤꿈치를 들고 다녔을까&amp;lt;/span&amp;gt; &amp;lt;/a&amp;gt; &amp;lt;/li&amp;gt; &amp;lt;/ul&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gudokArea"&amp;gt; &amp;lt;a href="https://nuri.hani.co.kr/hanisite/mobile/index.html?utm_source=hani_article&amp;amp;amp;utm_medium=display&amp;amp;amp;utm_campaign=gudok" title="구독신청" target="_blank"&amp;gt;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amp;lt;span&amp;gt;한겨레 구독신청 하기&amp;lt;/span&amp;gt;&amp;lt;/a&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bn-promotion-support-2st kisa"&amp;gt; &amp;lt;div class="support-con item1" style="display:block"&amp;gt; &amp;lt;div class="support-tit"&amp;gt; &amp;lt;strong&amp;gt;진실을 후원해주세요&amp;lt;/strong&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support-txt"&amp;gt; 용기를 가지고 끈질기게 기사를 쓰겠습니다.&amp;lt;br /&amp;gt; 여러분의 후원이 우리 사회에 드리운 어둠을 거둡니다. &amp;lt;/div&amp;gt; &amp;lt;div class="support-btn"&amp;gt; &amp;lt;a class="btn" href="https://support.hani.co.kr/hani/support.hani" onclick="ga('send', 'event', 'support', 'click', 'pa2', '2');dataLayer.push({'event': 'click_cta','button_type': 'donation','button_name': '후원_w본문하단고정'});"&amp;gt;후원하기&amp;lt;/a&amp;gt; &amp;lt;a class="btn btn-w" href="https://support.hani.co.kr/introduce/" target="_blank"&amp;gt;후원제 소개&amp;lt;/a&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support-con item2" style="display:none"&amp;gt; &amp;lt;div class="support-tit"&amp;gt; &amp;lt;strong&amp;gt;두근거리는 미래를 후원해주세요&amp;lt;/strong&amp;gt; &amp;lt;/div&amp;gt; &amp;lt;div class="support-txt"&amp;gt; 소외 없이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amp;lt;br /&amp;gt; 여러분의 후원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만듭니다. &amp;lt;/div&amp;gt; &amp;lt;div class="support-btn"&amp;gt; &amp;lt;a class="btn" href="https://support.hani.co.kr/hani/support.hani" onclick="ga('send', 'event', 'support', 'click', 'pa2', '2');dataLayer.push({'event': 'click_cta','button_type': 'donation','button_name': '후원_w본문하단고정'});"&amp;gt;후원하기&amp;lt;/a&amp;gt; &amp;lt;a class="btn btn-w" href="https://support.hani.co.kr/introduce/" target="_blank"&amp;gt;후원제 소개&amp;lt;/a&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amp;gt; &amp;lt;div id="ad_box01" class="ad_box01_area"&amp;gt; &amp;lt;h3 class="blind"&amp;gt;광고&amp;lt;/h3&amp;gt; &amp;lt;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3?section=science&amp;amp;amp;kisano=237738"&amp;gt;&lt;/div&gt; &lt;div id="taboola-3x3-article-thumbnails"&gt;&lt;/div&gt;&lt;script type="text/javascript"&gt;window._taboola = window._taboola || [];_taboola.push({mode: 'thumbnails-desktop-a',container: 'taboola-3x3-article-thumbnails',placement: 'Below Article Thumbnails 1',target_type: 'mix'}); <div id="laAdArea" style="padding:10px 0 25px"> <h3 class="blind">광고</h3>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adservice.hani.co.kr/RealMedia/ads/adstream_jx.ads/hani_desktop/@x14?section=science&kisano=237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