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6 vs 아이폰 6 플러스 - aipon 6 vs aipon 6 peulleoseu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9일(현지시간) 공개된 아이폰6s 플러스는 지난해 공개된 아이폰6 플러스와 크기와 디자인이 동일하다. 5.5인치에 메탈로 만들어진 곡선 테두리. 다양해진 색상에 3D터치·라이브 포토 등 기능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동일한 제품처럼 보일 수도 있다. 두 제품의 세부적인 사양을 비교·분석해 봤다.

◆디자인 = 아이폰6와 아이폰7의 중간 버전으로 나온 아이폰6s는 기존 제품 디자인과 정확히 일치한다. 다만 두께와 무게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아이폰6s 플러스는 6.23인치 길이에 넓이 3.07인치, 두께는 0.29다. 전작인 아이폰6는 이보다 작은 길이 6.22인치, 넓이 3.06인치, 두께 0.28인치다. 각각 0.01인치씩 큰 아이폰6s 플러스는 192그램으로 아이폰6 플러스(172그램)보다 20그램 무거워졌다.

◆디스플레이 = 두 제품의 디스플레이는 전혀 차이가 없다. 5.5인치 크기의 IPS LCD 디스플레이에 401ppi 화질로 완벽히 동일하다. 최고 574니츠(nits·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까지 밝게 표시할 수 있어 야외활동 중 태양 아래서도 다른 패블릿 스마트폰들에 비해 화면을 시원하게 볼 수 있다.

◆인터페이스와 기능 = 앞면 인터페이스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두 제품 모두 최신 iOS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플랫폼에는 차이가 없지만 시리와 스포트라이트 서치 등에 몇가지 기능이 추가되고 배터리 절전모드도 생겼다. 애플맵과 애플노트도 사용자환경(UI)이 개선됐다.

제품 공개 이전부터 이미 알려졌었지만 이번 제품의 가장 큰 진화는 3D터치다. 3D 터치는 2D 상황에서 탭(클릭)하고 밀고 두 손가락으로 확대ㆍ축소하던 '멀티터치'의 다음 세대다. 미리보기, 튀어나오기 등의 새로운 기능을 지원한다. 3D 터치는 홈스크린에서 작동해 자주 사용하는 기능 등을 표시하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도 작동한다. 세게 누르면 미리보기가 가능하고, 계속 누르면 콘텐츠 자체를 표시해준다. 이는 iOS9에서 통합 사용이 가능하다.

◆프로세스·메모리 = 아이폰6에는 64비트 애플 A8 칩셋과 M8 코프로세서가 적용됐다. 이번 아이폰6s에는 이보다 더 빨라진 애플 A9 칩이 탑재됐다. A9은 기존 제품 대비 70% 빨라지고 그래픽 렌더링 테스크 성능도 90% 향상됐다. 다만 내장 저장용량에 대한 옵션은 달라지지 않았다. 두 제품 모두 16·64·128GB 버전으로 출시된다.

◆배터리 = 2915mAh 배터리 용량은 동일하다. 애플은 아이폰6s 플러스가 아이폰6 플러스 때와 동일한 배터리 수명을 가지고 있다고 공개했다. 그러나 외신들은 새로 적용된 A9 칩셋의 효율성과 저전력 모드가 제품에 도입됐다는 점에서 배터리 수명이 늘어났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직까지 객관적으로 검증된 실험은 없었다.

◆카메라 = 카메라는 크게 향상됐다. 애플은 아이폰4s 이후 지금까지 줄곧 후면에 8MP 카메라를 탑재해 왔다. 이번 아이폰6s 플러스에는 12MP 아이사이트(iSight) 카메라가 탑재됐다. 아이폰6 플러스와 비교하면 픽셀과 포커스 픽셀이 각각 50%씩 늘어났다. 아이사이트 카메라의 포토 플래시는 주변 광량을 측정해서 적용됐으나, 이번에는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플래시가 적용된다.

또 한가지 눈에 띄는 점은 '라이브 포토' 기능이다. 평소에 찍던 대로 사진을 찍은 후, 이를 길게 누르면 3초간 사진이 움직이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소리도 포함된다. 잔잔한 호숫가를 찍었다면 3초간 물이 흐르고, 폭포에서 사진을 찍었다면 폭포 소리와 함께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진을 찍는 순간의 앞뒤로 1.5초를 촬영하는 원리다. 카메라 앱을 실행하면 화면 상단에 동심원 세 개짜리 아이콘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활성화돼 있기 때문에 평소 찍듯 사진을 그냥 찍기만 해도 라이브 포토가 가능하다. 애플 기기에서 모두 연동되며 애플워치에서도 라이브포토를 확인할 수 있다. 워치 페이스로 설정할 경우 손목을 들어 시계를 볼 때마다 사진이 움직이게 된다.

권용민 기자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