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액의 제조 및 표준화 실험목적 - yong-aeg-ui jejo mich pyojunhwa silheommogjeog

1�� ���� ��ǥ

2�� ���� �ⱸ �� �þ�
1. ���� �ⱸ
2. �þ��� ����

3�� �����̷�
1. ǥ�ؿ��

2. ǥ��ȭ �� ǥ�ع���
3. 1�� ǥ�ع����� ����
4. 1�� ǥ�ع����� ����
5. ���ؼ�
6. �ۼ�Ʈ ��
7. ����
8. �緮��
9. ����

10. ������

4�� ������
1. 0.1M NaOH ����
2. 0.1M NaOH ǥ��ȭ

5�� ��������

  ����� ���� �� ǥ��ȭ    
����
���� ��ǥ  ���� �ⱸ �� �þ�  ���� �ⱸ  �þ��� ����  �����̷�  ǥ�ؿ��  ǥ��ȭ �� ǥ�ع���  1�� ǥ�ع����� ����  1�� ǥ�ع����� ����  ���ؼ�  �ۼ�Ʈ ��  ����  �緮��  ����  ������  ������  
����1) 0.1m naoh ����
����2) 0.1m naoh ǥ��ȭ
��������    �����ǥ  
������ ���� ����� ����� �̸� ��ȭ������ ���� ǥ��ȭ�Ѵ�.
���ڽ��� �˰� �ִ� �꼺��׿� naoh ������� ����Ʈ���� ��ȭ���� �����Ѵ�.(�䷿�� �̿�)
�˾Ƴ� ��ȭ������ ����Ʈ�� naoh�� ���Ǹ� ���� naoh ������� ���󵵸� ���� �� �ִ�.
  ����ⱸ  100ml �ﰢ �ö�ũ 3��  50ml �䷿ 1��  weighing paper  ���� �Ǹ��� 1��  �ڼ� ���ݱ�  ���� ����  ����  
�����, �򶧱�, naoh, ��Ż�������Ÿ��, �����Ż���� ���þ�, �µ��� 1��, ������
100ml ���� �ö�ũ 1��    �þ��� ����  ����ȭ ��Ʈ��(naoh)  �����Ż����(cxxxx.xx.xx)  ��Ż�������Ÿ��(khc8h4o4)  ������(h2o)    �����̷�    ǥ�ؿ��  ���� �м��� ���ؿ��.�� �߿�  �ַ� ���Ǵ� ǥ�ؿ��  ��Ż�������Ÿ��  ���̿��������Ÿ��  ����  �����츮�ǻ꿰  ���Ĺλ�  Ʈ����(���̵�Ͻø�ƿ)�ƹ̳�������  ��ȭ����    ǥ��ȭ �� ǥ�ع���  ǥ��ȭ : ǥ�ؿ���� ���� �󵵸� �����ϴ� ����  
ǥ�ع��� : ǥ��ȭ�� ���Ǵ� �����ϸ� ���� ������ ���� �ִ� ����.
  1�� ǥ�ع����� ����  
1.�����ؾ� �Ѵ�.
2.����,dzȭ,���� ��ȭ ���� Ư���� ����,��� ������ ���� ������ ����� �Ѵ�.
3.�������� ȭ�� ������ ����Ǿ�� �Ѵ�.
4.������ �� 1���� ������ Ŀ�� ���� ������ ������ �ּ�ȭ�� �� �־�� �Ѵ�.
  1�� ǥ�ع����� ����   ������(basic form)  ź�곪Ʈ��(na2co3)  ź����ҳ�Ʈ��(nahco3)  ����곪Ʈ��(na2c2o4)  ����(acid form)  ��Ż�������Ÿ��(khc8h4o4)  ������̼�ȭ��(h2c2o42h2o)  ����(hcl)  ���������Į��    ���ؼ�  
���� �߿� ����Ǿ� �ִ� ��ü�� ������ �����Ͽ� ��� ����.
naoh�� ǥ��ȭ�ϴ� ����.
  �ۼ�Ʈ(�����)��  
��� 100g �ӿ� ��� �ִ� ������ g��.����� ���ϱ⸦ ���� �� ���� ���������� ����ϴ� ����
������ ���ء�µ��� ���� x    �� ��  
��� 1l�� ����ִ� ������ ����.
mol/m���� ǥ��  ���� ���� �� �µ��� ����      �緮  1�緮h �Ǵ� oh-1mol�� �����ϴ� ��  ex) h2so4 1mol 2�緮  g�緮�� 49g/eq    �緮��  
�м� ��������Ȯ�ϰ� �����ϴµ� �ʿ��� ������.
�̻����� ���    ����  
�ٸ� ��װ� �����ϴµ� �ʿ��� ���� �����ϴ� �м���.
��-���� ������    ������  ������ ������ ����  �����ڰ� ������ ���ߴ� ����  �̻����� ��Ȳ���� �������緮��     (���� ����)

�ı��ۼ�����ı⸦ �ۼ��Ͻø� �������� 100 point�� ������ �帳�ϴ�.

����� ����������

����ı� (0)

��ϵ� ���䰡 �����ϴ�.

ù��° ���� �Ǿ��ּ���.

[일반화학실험]용액의 제조 및 표준화

  • 상세정보
  • 자료후기 (2)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분자식을 알고 있는 산성용액에 뷰렛을 이용하여 NaOH 수용액을 떨어뜨리며 중화점을 측정하고, 알아낸 중화점에서 떨어뜨린 NaOH의 부피를 통해 NaOH의 몰농도를 구하여 보는 일반화학실험 레포트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토의 사항
7. 참고 자료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1.1. 적정분석 실험에서 사용되는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시약을 말하며, 표준액이라고도 한다. 옥살산 표준용액과 같이 순수한 물질을 칭량하여 일정량의 용액에 녹이는 것만으로 표준용액이 얻어지는 경우와 수산화바륨 표준용액과 같이 그 농도를 다른 표준용액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정하는 경우가 있다.
1.1.2. 표준용액은 다양한 적정 실험에 사용된다. 대표적 적정실험인 중화적정으로 예로 들면, 농도를 모르는 염기를 삼각 플라스크에 넣어둔 상태에서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는 산을 한 방울씩 떨어뜨린다. 중화점에 도달하면 그 순간까지 가해준 산의 양을 구한 후, 계산을 통해 농도를 모르던 염기의 농도를 구할 수가 있다. 이 실험에서 사용된 농도를 알고 있는 산이 바로 표준용액이 된다. 농도를 모르는 염기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는 산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고, 농도를 모르는 산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는 염기를 표준용액으로 사용한다.

<중 략>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2~3 방울을 첨가하고 종말점에 도달할 때까지 0.1M NaOH용액을 프탈산수소포타슘 용액에 방울방울 떨어뜨리면서 적정한다. 30초 이상 분홍색이 남아 있으면 반응은 완결 된 것으로 간주한다.
종말점에 도달하면 뷰렛의 눈금을 0.01㎖ 단위까지 읽고 기록해 둔다.
위와 같은 실험을 2회 더 실시한 뒤 NaOH 용액의 평균 몰 농도를 계산하여, 처음에 제조한 용액의 몰 농도와 비교한다.
뷰렛의 한 방울의 부피 측정
50㎖ 뷰렛에서 1㎖의 부피가 흘러나올 때의 방울수를 세어 한 방울의 용액에 대한 부피를 계산한다.
주의 사항
NaOH 등과 같은 강한 염기성 또는 산성 시약을 쓸 경우에는 시약이 몸과 옷에 튀지 않도록 조심히 다룰 것.
뷰렛의 눈금을 측정할 경우, 눈과 뷰렛의 눈금 사이가 일직선이 되도록 바라보고 뷰렛의 아랫부분에 용액이 완전히 가득 찰 수 있도록 한다.

참고 자료

Chemistry & Chemistry Reactivity 8th edition, Kotz-Treichel-Townsend, 일반화학교재편찬위원회 옮김, 북스힐, 2013년 p.150~157
General chemistry 8th, Raymond Chang, p.116

태그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