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추가 인식 - SSD chuga insig

새로 산 SSD가 인식이 안될 때 대처하는 꿀팁!

요즘 HDD보다 빠르고 가벼운 SSD의 가격이 낮아지면서 많은 분들이 구매 후 신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혹시, 설레는 마음으로 새로 산 SSD를 설치하고 컴퓨터를 부팅했으나... 방금 설치한 SSD가 보이지 않아서 난감하지는 않으셨나요? ㅠㅠ

※ SSD(Solid State Drive)란?

기존 기계적 장치로 작동하던 HDD(Hard Disk Drive)와 달리, 반도체를 이용해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HDD에 비해서 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 발열과 소음이 적다. 또한 소형화와 경량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치한 디스크가 보이지 않아 곤란하셨던 분들을 위해! 오늘도 알약맨이 꿀팁을 들고 왔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C에 새로운 디스크를 정상적으로 인식시키는 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1. [파일 탐색기] - [내 PC] 우클릭 - [관리]

먼저 컴퓨터에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시키려면, [파일 탐색기]에서 좌측 탐색기에 위치한 [내 PC]를 우클릭한 후, [관리(G)]로 들어가야 합니다. 

<[내 PC] - [우클릭] - [관리(G)]>

※ TIP! 윈도우 탐색기 단축키는 '[Win] + E' 입니다. 

관련 포스팅: 알아두면 유용한 윈도우 단축키 (▶ 바로가기)

<컴퓨터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컴퓨터 관리]>

[관리]를 누르면 [컴퓨터 관리]라는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관리] 창은 컴퓨터를 관리할 수 있는 전반적인 기능들을 모아놓은 관리창입니다. 디스크 관리도 이 곳에서 진행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세요. ^^

2. [컴퓨터 관리] - [저장소] - [디스크 관리]

[컴퓨터 관리]창에는 [저장소]와 그 하위메뉴인 [디스크 관리] 메뉴가 있습니다. 오늘은 새로운 디스크를 인식시키기 위해서 [디스크 관리]를 클릭합니다.

<디스크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디스크 관리] 메뉴>

[디스크 관리]를 클릭하면 약간의 탐색 시간이 지난 후, 현재 작동하고 있는 볼륨(디스크)과 관련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중 하단에 위치한 [디스크 0] 부터 [디스크 N] 에서 디스크를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

※ 설치한 디스크가 보이지 않는 경우, 다시 한 번 디스크와 컴퓨터의 연결 상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3. 할당되지 않은 디스크 우클릭 - [새 단순 볼륨(I)] -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컴퓨터에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면, 그림과 같이 검은색 줄 밑에 디스크의 크기와 '할당되지 않음'이라는 글씨가 보입니다.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의 디스크>

해당 디스크를 우클릭한 후 [새 단순 볼륨(I)]를 클릭하면, 할당되지 않았던 디스크를 인식시키는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시작 화면>

4. [파티션 할당] - [드라이브 문자 할당] - [파티션 포맷]

그 후 [다음(N)] 누르면 디스크의 크기를 나눌 수 있는 [파티션 할당] 창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최소 디스크 공간과 최대 디스크 공간 사이의 숫자를 지정하면 해당 크기만큼의 디스크가 생성됩니다.

<디스크(볼륨)의 크기를 나누어 주는 파티션 설정 창>

<드라이브 문자 할당 창>

크기를 지정하면 드라이브의 문자(이름)을 할당할 수 있는 창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드라이브 문자는 현재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드라이브 문자를 뺀 나머지 알파벳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파티션을 포맷 할 수 있는 포맷 창>

크기까지 지정 완료했다면, 마지막으로 해당 디스크에 있는 모든 내용을 지워,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파티션 포맷]을 진행해주세요~

※ 사용 중인 디스크를 인식시킬 때는 자료 분실에 각별히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5.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종료 - 확인

마지막 포맷 단계까지 진행하고 나면, 지금까지 진행한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의 결과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완료!>

[확인]을 누른 후 다시 [내 컴퓨터]에서 해당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완료 후 내PC에 나타난 '새 볼륨(:E)'>

위 사진처럼 새 볼륨과 디스크 문자가 생성되었다면,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입니다. 이제 더욱 풍부해진 용량과 빨라진 PC 속도로 신세계를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 알약맨은 다음 번에도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로우 레벨 포맷을 했거나 새 하드 구매하고 컴퓨터에 메인보드에 연결해서 장착했다면

윈도우10에서 어떻게 인식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스크 관리 (2가지 방법)

 ① 내 PC(우클릭) -> 관리

 ② 작업표시줄에 검색 상자에서 '컴퓨터 관리' 검색

2. 디스크 관리 -> 디스크 초기화에서 파티션 형식 선택

디스크 초기화에 파티션 형식이 MBR, GPT 2가지가 있습니다.

MBR

부팅 영역으로 다른 OS 설치 및 다른 부트 파일을 심어야 할 일이 있을 때 사용하며,

지원하는 디스크 용량이 최대 2TB이며, 하나의 디스크에서 파티션을 4개 이내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TB를 하드로 인식시켰을 때 3TB 중 2TB만 사용 가능)

GPT

디스크에서 부팅영역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데이터 저장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GPT방식으로 UEFI 방식의 부팅도 가능합니다.

하드 드라이브에서 무제한 파티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정리 -

MBR은 구형 운영체제가 설치된 2TB 이하 컴퓨터에 적합.

GPT는 UEFI 방식의 부팅도 가능하고 데이터 저장도 가능함. (요즘 컴퓨터에 적합)

3. 디스크 관리 -> 새 단순 볼륨

디스크 초기화를 했다면 이제 새 하드디스크를 드라이브로 인식시키기

디스크 2에 '할당되지 않음'되어 있는 디스크를 우클릭하여 '새 단순 볼륨'

4. 드라이브 설정

D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로도 설정 가능

디스크 2가 활성화되고 내 PC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정보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__)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