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묘장구 대다라니 해석 - sinmyojang-gu daedalani haeseog

*신묘장구대다라니 한글 번역 (신기하고 미묘한 큰 다라니주문)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마하살 대비존께 귀의합니다.

일체의 모든 두려움을 구제해 주시는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오니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을 펼쳐 보여주십시오.

저, 청경이란 명성이 높은 마음의 근본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들이 이길 수 없는 분에게 귀의합니다.

청정공덕하신 분이시여, 광명과 지혜로 세간을 초월하신 분이시여!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에 오르게 하소서.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하여 주소서, 마음에 진언을 새겨주소서.

악업을 승리하신 분이시여!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우리를 보호하여주소서.

대 승리자시여, 수지 보존하옵소서, 우리를 옹호하는 자재존이시여!

번뇌를 모두 없앤 훌륭한 모습 속히 강림하소서. 세상에 자재로운 주인이시여!

 탐진치의 독심을 소멸시켜주소서.

우리의 번뇌를 모두 가져가소서, 연꽃에 오른 연화성존이시여!

감로법수를 유출하시어 깨치게 하소서, 깨달게 하소서.

자비로운 청정성존 관세음보살님이시여!

모든 애욕 파하고 기쁨과 공경으로 성취케 하소서, 이루어주소서. 크게 성취되게 하소서.

자유자재로 성취되게 하는 관세음보살님! 성취되게 하옵소서.

청경관음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연꽃을 들고 계신 관음보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법소라 나팔 소리로써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어깨위에 검고 울퉁불퉁 모가 난 무기를 메시고 굳게 지켜주시는 관음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무서운 무기를 들고 불법승삼보와 불법인연중생들을 수호하시는

화엄팔부 금강신장님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산신령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세번)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가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타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나탸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 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 도로 미연제 마하 미연제 다라 다라 다린 나례 새바라 자라 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 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 나야 마낙 사바하 싣다야 사바하 마하 싣다야 사바하 싣다 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 싱하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상카섭나네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라 구타 다라야 사바하 바마사간타 니사 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먀가라잘마 이바 사나야 사바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 (세번)

*신묘장구대다라니산스크리트어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나마 아리야발로기떼슈와라야 보디쌋뜨와야
마하쌋뜨와야 마하까루니까야 옴 싸르와 바예슈 뜨라나 까라야
따쓰마이 나마하 끄리뜨와 이맘 아리야 아발로끼떼슈와라쓰따반
닐라깐타 나마 흐리다얌 아바르따이시야미 싸르바르타 싸다남 슈맘 아제양
싸르와 부따남 바바 마르가 비슈다깐 따디야타 옴 알로께 알로까마티 로까띠끄란떼
혜혜 하레 마하 보디쌋뜨와 쓰마라 쓰마라 흐리다얀 꾸루 꾸루 까르망 싸다야 싸다야
두루 두루 비자얀떼 마하비자얀떼 다라 다라 다렌드레슈와라

짤라 짤라 말라 비말라 아말라 묵떼
에히에히 로께슈와라 라가 비샹 비나샤야 드웨사 비샹 비나샤야

모하 잘라 비샹 비나샤야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하레 빠드마 나바 싸라 싸라 씨리 씨리 쓰루 쓰루
부디야 부디야 보다야 보다야 마이뜨레야 닐라깐따

까마싸야 다르시남 쁘라흘라다야마나하 쓰와하
씻다야 쓰와하
마하 씻다야 쓰와하 씻다 요게슈와라야 쓰와하 닐라깐타야 쓰와하

바라하 무카 씽하 무카야 쓰와하 빠드마 하쓰다야 쓰와하 짜끄라 육따야 쓰와하
상카 삽다 니보다나야 쓰와하 마하 라꾸따 다라야 쓰와하

바마 쓰깐다 디샤 쓰티따 끄리슈나 지나야 쓰와하
비야그라 짜르마 니바싸나야 쓰와하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나마 아리야 아발로끼떼슈와라야 쓰와하
옴 씨디얀뚜 만뜨라 빠다야 쓰와하

 

"The Great Dharani of Spiritually Sublime Phrases(신묘장구대다라니)"

산스크리트어발음과 한글번역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나마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야 보디싸뜨바야 마하싸뜨바야 마하-까루니까야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마하살 대비존께 귀의합니다.


옴 싸르바-바예슈 뜨라나-까라야 따스마이 나마쓰-끄리뜨바 이맘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 바시땅
일체의 모든 두려움을 구제해 주시는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오니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을 펼쳐 보여주십시오.

닐라-깐타 나모 흐라다얌 아바르따이 씨야미 싸르바르타 싸다남 슈밤 아제얌 싸르바-부따남 

저, 청경이란 명성이 높은 마음의 근본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들이 이길 수 없는 분에게 귀의합니다.


바바-마르가-비슛다깜 따드 야타
옴 알로께 알로까-마띠 로까띠끄란떼 헤 헤 하레

청정공덕하신 분이시여, 광명과 지혜로 세간을 초월하신 분이시여!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에 오르게 하소서.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하여 주소서, 마음에 진언을 새겨주소서.


마하-보디싸뜨바 쓰마라 쓰마라 흐리다얌 꾸르 꾸르 까르망 싸다야 싸다야 두루 두루

악업을 승리하신 분이시여!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비자얀테 마하 비자얀테 우리를 보호하여주소서.,

 다라 다라 다렌드레스바라 짤라 짤라  말라-비말라 아말라-묵띠 에히 에히

대 승리자시여 수지 보존하옵소서, 우리를 옹호하는 자재존이시여!

번뇌를 모두 없앤 훌륭한 모습 속히 강림하소서.


로께스바라 라가-비샹 비나샤야 드웨샤-비샹 비나샤야 모하-비샹 비나샤야 

세상에 자재로운 주인이시여! 탐심과 진심, 치심의 독심을 소멸시켜주소서.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하레
우리의 번뇌를 모두 가져가소서,
빠드마-나바 싸라 싸라 씨리 씨리 쓰루 쓰루 부디야 부디야 보다야 보다야
연꽃에 오른 연화성존이시여! 감로법수를 유출하시어 깨치게 하소서,깨달게 하소서.

 
마이뜨레야 닐라-깐타 까마씨야 다르샤남 쁘라흐라다야-마나흐 쓰바하
씻다야 쓰바하 마하-씻다야 쓰바하 씻다-요게스바라야 쓰바하

자비로운 청정성존 관세음보살님이시여!모든 애욕 파하고 기쁨과 공경으로 성취케 하소서,

 이루어주소서. 

마나흐 쓰바하 씻다야 쓰바하 마하-씻다야 쓰바하 씻다-요게스바라야 쓰바하 

크게 성취되게 하소서. 자유자재로 성취되게 하는 관세음보살님! 성취되게 하옵소서.

 
닐라-깐타야 쓰바하
청경관음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바라하무카 씽하무카야 쓰바하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빠드마-하쓰따야 쓰바하 연꽃을 들고 계신 관음보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짜끄라-육따야 쓰바하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샹카샵다네 보다나야 쓰바하 법소라 나팔 소리로 깨닫게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성취하게 하소서.

마하-라꾸따-다라야 쓰바하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마-쓰칸다-디샤-쓰티따 끄리슈나-지나야 쓰바하
어깨위에 검고 울퉁불퉁 모가 난 무기를 메시고 굳게 지켜주시는 관음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화엄팔부 금강신장님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비야그라-짜르마-니바싸나야 쓰바하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산신령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나마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야 쓰바하옴 씨디얀뚜 만뜨라-빠다야 쓰바하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 

******************************************************************************************************************************************************************************************************************

"The Great Dharani of Spiritually Sublime Phrases(신묘장구대다라니)"  

 산스크리트어 원문과 한글번역본

namo ratna-trayaya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nama aryavalokitesvaraya

(나마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야 보디싸뜨바야)

bodhisattvaya mahasattvaya maha-karunikaya

(마하싸뜨바야 마하-까루니까야)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마하살 대비존께 귀의합니다.>

om sarva-bhayesu trana-karaya tasmai namas-krtva

(옴 싸르바-바예슈 뜨라나-까라야 따스마이 나마쓰-끄리뜨바)

imam aryavalokitesvarabhasitam

(이맘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 바시땅)

 <일체의 모든 두려움을 구제해 주시는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오니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을 펼쳐 보여주십시오.>

nila-kantha (닐라-깐타)

namo hrdayam avartayisyami

(나모 흐라다얌 아바르따이 씨야미)

 sarvartha-sadhanam subham ajeyam sarva-bhutanam

(싸르바르타 싸다남 슈밤 아제얌 싸르바-부따남

 <저, 청경이란 명성이 높은 마음의 근본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들이 이길 수 없는 분에게 귀의합니다.>

bhava-marga-visuddhakam tad yatha

바바-마르가-비슛다깜 따드 야타)

om aloke aloka-matilokatikrante he he hare

(옴 알로께 알로까-마띠 로까띠끄란떼 헤 헤 하레)

mahabodhisattva smara smara hrdayam

(마하-보디싸뜨바 쓰마라 쓰마라 흐리다얌)

 <청정공덕하신 분이시여, 광명과 지혜로 세간을 초월하신 분이시여!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에 오르게 하소서.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하여 주소서, 마음에 진언을 새겨주소서.>

kuru kuru karmam sadhaya sadhaya

(꾸르 꾸르 까르망 싸다야 싸다야 )

 <악업을 승리하신 분이시여!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dhuru dhuru  vijayante maha-vijayante

(두루 두루 비자얀떼 마하 비자얀떼 )<우리를 보호하여주소서. 대 승리자시여,>

dhara dhara dharendresvara cala cala

(다라 다라다렌드레스바라 짤라 짤라)

mala-vimala amala-mukty ehy ehi

(말라-비말라 아말라-묵띠 에히 에히)

<수지 보존하옵소서, 우리를 옹호하는 자재존이시여!

번뇌를 모두 없앤 훌륭한 모습 속히 강림하소서.>

lokesvara raga-visam vinasaya

(로께스바라 라가-비샹 비나샤야)

dvesa-visam vinasaya (드웨샤-비샹 비나샤야)

moha-visam vinasaya (모하-비샹 비나샤야)

<세상에 자재로운 주인이시여! 탐심과 진심, 치심의 독심을 소멸시켜주소서.>

hulu hulu mala hulu hulu mala hulu hulu hare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하레)

 padma-nabha sara sara siri siri sru sru budhya budhya budhya bodhaya bodhaya

(빠드마-나바 싸라 싸라 씨리 씨리 쓰루 쓰루 부디야 부디야 보다야 보다야)

<우리의 번뇌를 모두 가져가소서, 연꽃에 오른 연화성존이시여!

 감로법수를 유출하시어 깨치게 하소서,깨달게 하소서.>

 maitreya-nila-kantha kamasya dharsanam prahradaya-

(마이뜨레야 닐라-깐타 까마씨야 다르샤남 쁘라흐라다야-)

<자비로운 청정성존 관세음보살님이시여!

모든 애욕 파하고 기쁨과 공경으로 성취케 하소서, 이루어주소서.>

manah svaha  siddhaya svaha maha-siddhaya svaha siddha-yogesvaraya svaha

(마나흐 쓰바하 씻다야 쓰바하 마하-씻다야 쓰바하 씻다-요게스바라야 쓰바하)  

<크게 성취되게 하소서. 자유자재로 성취되게 하는 관세음보살님! 성취되게 하옵소서.>

nila-kanthaya svaha

(닐라-깐타야 쓰바하)

<청경관음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varahamukha-sim-hamukhaya svaha

 (바라하무카 씽하무카야 쓰바하)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padma-hastaya svaha

(빠드마-하쓰따야 쓰바하) 

<연꽃을 들고 계신 관음보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cakra-yuktaya svaha

(짜끄라-육따야 쓰바하)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sankha-sabdane bodhanaya svaha

(샹카-샵다네 보다나야 쓰바하)

<법소라 나팔 소리로써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maha-lakuta-dharaya svaha

(마하-라꾸따-다라야 쓰바하)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vama-skandha-disasthita-krsna-jinaya svaha

(바마-쓰칸다-디샤-쓰티따 끄리슈나-지나야 쓰바하)

<어깨위에 검고 울퉁불퉁 모가 난 무기를 메시고 굳게 지켜주시는 관음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무서운 무기를 들고 불법승삼보와 불법인연중생들을 수호하시는 화엄팔부 금강신장님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vyaghra-carma-nivasanaya svaha

 (비야그라-짜르마-니바싸나야 쓰바하)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산신령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namo ratna-trayaya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nama aryavalokitesvaraya svaha

(나마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야 쓰바하)

om sidhyantu mantra-padaya svaha

(옴 씨디얀뚜 만뜨라-빠다야 쓰바하)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세번)

***************************************************************************************************************************************************************************************************************************************************************************************************************************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설 및 뜻풀이 

  산스크리트어 원문과, 어원해석,한글번역

"The Great Dharani of Spiritually Sublime Phrases(신묘장구대다라니)"

namo ratna-trayaya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nama aryavalokitesvaraya

bodhisattvaya mahasattvaya maha-karunikaya

(나마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야 보디싸뜨바야

마하싸뜨바야 마하-까루니까야)

나모(귀의) 라다나(보배, 거룩한, 최고의~) 다라야야(보호자) 나막(귀의) 알약(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야(아바로기떼 새바라야, 관세음보살님의 본명)

모지(보리)사다바야(살타)(모지사다바야-보살이란 뜻) 마하사다바야(마하살, 큰보살)

 마하가로 니가야(대자대비)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마하살 대비존께 귀의합니다.>

om sarva-bhayesu trana-karaya tasmai namas-krtva imam

(옴 싸르바-바예슈 뜨라나-까라야 따스마이 나마쓰-끄리뜨바

aryavalokitesvarabhasitam

이맘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 바시땅)

옴 살바(일체) 바예수(공포, 두려움) 다라나(구제, 구원, 보호) 가라야(행위한다는 뜻) 다사명(제도하다)

 나막(귀의) 가리다바(위엄, 힘이 있는) 이맘(어진신 분, 성인) 알야(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관세음보살) 다바(위신력)

<일체의 모든 두려움을 구제해 주시는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오니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을 펼쳐 보여주십시오.>

nila-kantha (닐라-깐타) namo hrdayam avartayisyami

(나모 흐라다얌 아바르따이 씨야미)

 sarvartha-sadhanam subham ajeyam sarva-bhutanam

(싸르바르타 싸다남 슈밤 아제얌 싸르바-부따남

니라(푸른)간타(목)(니라간타는 푸른 목, 청경靑頸을 말하는데 관세음보살님이 과거 독 룡과 싸워 이긴 행적을 나타냄) 나막(귀의) 하리나야(진언, 마음) 마발다(회귀回歸) 이사미(나자신을말함)

살발타(모두 이롭게, 이익, 목적) 사다남(성취) 수반(길상) 아예염(이길 수 없는, 최고의~)

 살바(일체)보다남(귀신, 정영精靈)

<저, 청경이란 명성이 높은 마음의 근본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들이 이길 수 없는 분에게 귀의합니다.>

bhava-marga-visuddhakam tad yatha

바바-마르가-비슛다깜 따드 야타)

om aloke aloka-matilokatikrante he he hare

(옴 알로께 알로까-마띠 로까띠끄란떼 헤 헤 하레)

mahabodhisattva smara smara hrdayam

(마하-보디싸뜨바 쓰마라 쓰마라 흐리다얌)

바바말아(탄생하다, 존재하다, 있다, 삶의 길) 미수다감(청정공덕) 다나탸(이와 같이~,또는 나아간다)

옴 아로계아로가('광명, 명조明照,안목眼目,주시注視, 관찰자) 마지로가(세간에서 공경하는, 지혜로운 사람)

지가란제(초월) 혜혜(오! 라는 감탄사, 또는 따른다) 하례(신의 이름, 또는 실어나른다, 오르다)

마하(크다)모지(보리) 사다바(살타, 보살) 사마라 사마라(기억하다) 하리나야(마음, 진언)

<청정공덕하신 분이시여, 광명과 지혜로 세간을 초월하신 분이시여!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에 오르게 하소서.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하여 주소서, 마음에 진언을 새겨주소서.>

kuru kuru karmam sadhaya sadhaya dhuru dhuru

(꾸르 꾸르 까르망 싸다야 싸다야 두루 두루)

구로구로(작위作爲) 갈마(업) 사다야 사다야(승리자, 성취하다)

<악업을 승리하신 분이시여!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vijayante maha-vijayante dhara dhara

(비자얀떼 마하 비자얀떼 다라 다라

도로 도로(보호) 미연제 (승리하다, 조복받다, 아무도 이길 수 없다) 마하 미연제(큰 승리자)

<우리를 보호하여주소서. 대 승리자시여,>

dharendresvara cala cala

(다렌드레스바라 짤라 짤라)

mala-vimala amala-mukty ehy ehi

(말라-비말라 아말라-묵띠 에히 에히)

다라 다라(수지受持, 보존) 다린 나례(옹호하는 주인) 새바라(자재자, 주인) 자라 자라(행동하다) 마라(더러움, 번뇌) 미마라 아마라(더러움을 벗어난) 몰제(훌륭한 모습, 아름다운 모습) 예혜혜(강림하다, 속히 오다)

<수지 보존하옵소서, 우리를 옹호하는 자재존이시여!

번뇌를 모두 없앤 훌륭한 모습 속히 강림하소서.>

lokesvara raga-visam vinasaya

(로께스바라 라가-비샹 비나샤야)

dvesa-visam vinasaya (드웨샤-비샹 비나샤야)

moha-visam vinasaya (모하-비샹 비나샤야)

로계(세간, 세계) 새바라(자재자, 주인) 라아(탐심貪心)미사(독)미 나사야(소멸하다, 잠재우다)

나베 사(진심嗔心)미사(독)미 나사야(소멸하다, 잠재우다) 모하(치심癡心)

자라(동요, 행동) 미사(독)미 나사야(소멸하다, 잠재우다)

<세상에 자재로운 주인이시여! 탐심과 진심, 치심의 독심을 소멸시켜주소서.>

hulu hulu mala hulu hulu mala hulu hulu hare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말라 훌루 훌루 하레)

 padma-nabha sara sara siri siri sru sru budhya budhya budhya bodhaya bodhaya

(빠드마-나바 싸라 싸라 씨리 씨리 쓰루 쓰루 부디야 부디야 보다야 보다야)

호로 호로(취取해가지다, 뿌리채 가져가다) 마라(더러움, 번뇌)호로(거두어가다)

하례(신의 이름, 또는 실어나른다, 오르다) 바나마(연꽃) 나바(중심, 마음, 중앙)(연화성존)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물이 흐르는 모습을 형용하는 의성어. 감로수를 나타냄)

못쟈 못쟈(붓다, 깨달은 자) 모다야 모다야(보리도, 깨달음)

<우리의 번뇌를 모두 가져가소서, 연꽃에 오른 연화성존이시여!

감로법수를 유출하시어 깨치게 하소서,깨달게 하소서.>

 maitreya-nila-kantha kamasya dharsanam prahradaya-manah svaha

(마이뜨레야 닐라-깐타 까마씨야 다르샤남 쁘라흐라다야-마나흐 쓰바하)

매다리야(어여삐여김, 자비스러운, 인정이 깊은) 니라간타(청경靑頸관음)

가마사(애욕, 욕망, 원망) 날사남(바라본다, 부수다) 바라 하라나야(기쁨, 환희, 분발)

마낙(공경, 정의) 사바하(성취) 싣다야(성취) 사바하(성취)

<자비로운 청정성존 관세음보살님이시여!

모든 애욕 파하고 기쁨과 공경으로 성취케 하소서, 이루어주소서.>

siddhaya svaha maha-siddhaya svaha siddha-yogesvaraya svaha

(씻다야 쓰바하 마하-씻다야 쓰바하 씻다-요게스바라야 쓰바하)

마하(크다) 싣다야 사바하(성취) 싣다(성취) 유예(요가, 자재) 새바라야(자재자, 주인) 사바하

<크게 성취되게 하소서. 자유자재로 성취되게 하는 관세음보살님! 성취되게 하옵소서.>

nila-kanthaya svaha

(닐라-깐타야 쓰바하)

니라간타야(청경靑頸관음)사바하(성취)

<청경관음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varahamukha-sim-hamukhaya svaha

 (바라하무카 씽하무카야 쓰바하)

바라하(산돼지) 목카(얼굴, 모습) 싱하(사자)목카야(얼굴, 모습) 사바하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padma-hastaya svaha

(빠드마-하쓰따야 쓰바하)

바나마(연꽃) 하따야(지니다) 사바하

<연꽃을 들고 계신 관음보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cakra-yuktaya svaha

(짜끄라-육따야 쓰바하)

자가라(큰 수레바퀴) 욕다야(전쟁, 전투) 사바하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sankha-sabdane bodhanaya svaha

(샹카-샵다네 보다나야 쓰바하)

상카(소라)섭나네(나팔소리) 모다나야(보리, 깨달음) 사바하

<법소라 나팔 소리로써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maha-lakuta-dharaya svaha

(마하-라꾸따-다라야 쓰바하)

마하(크다)라 구타(곤봉, 방망이) 다라야(지님, 가짐) 사바하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vama-skandha-disasthita-krsna-jinaya svaha

(바마-쓰칸다-디샤-쓰티따 끄리슈나-지나야 쓰바하)

바마(왼쪽)사간타(어깨) 니사(모서리) 시체다(굳게 지키다) 가릿나(검은색)

이나야(승리자, 여래, 깨달은 자) 사바하

<어깨위에 검고 울퉁불퉁 모가 난 무기를 메시고 굳게 지켜주시는 관음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무서운 무기를 들고 불법승삼보와 불법인연중생들을 수호하시는

화엄팔부 금강신장님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vyaghra-carma-nivasanaya svaha

 (비야그라-짜르마-니바싸나야 쓰바하)

먀가라(호랑이)잘마(가죽) 이바(의복) 사나야(옷을 입다) 사바하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산신령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namo ratna-trayaya

(나모 라뜨나-뜨라야야)

nama aryavalokitesvaraya svaha

(나마 아리야발로끼떼스바라야 쓰바하)

om sidhyantu mantra-padaya svaha

(옴 씨디얀뚜 만뜨라-빠다야 쓰바하)

나모(귀의)라 다나(보배, 거룩한, 최고의~)다라 야야(보호자) 나막(귀의)알야(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야(아바로기떼 새바라야, 관세음보살님의 본명) 사바하 (세번)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세번)

*신묘장구대다라니 해설 및 뜻풀이

--  원문 없는 뜻풀이와 한글번역본

나모(귀의) 라다나(보배, 거룩한, 최고의~) 다라야야(보호자) 나막(귀의) 알약(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야(아바로기떼 새바라야, 관세음보살님의 본명)

모지(보리)사다바야(살타)(모지사다바야-보살이란 뜻)

마하사다바야(마하살, 큰보살) 마하가로 니가야(대자대비)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마하살 대비존께 귀의합니다.>

옴 살바(일체) 바예수(공포, 두려움) 다라나(구제, 구원, 보호) 가라야(행위한다는 뜻) 다사명(제도하다)

 나막(귀의) 가리다바(위엄, 힘이 있는) 이맘(어진신 분, 성인) 알야(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관세음보살) 다바(위신력)

<일체의 모든 두려움을 구제해 주시는 어진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하오니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을 펼쳐 보여주십시오.>

니라(푸른)간타(목)(니라간타는 푸른 목, 청경靑頸을 말하는데 관세음보살님이 과거 독 룡과 싸워 이긴 행적을 나타냄) 나막(귀의) 하리나야(진언, 마음) 마발다(회귀回歸) 이사미(나자신을말함)

살발타(모두 이롭게, 이익, 목적) 사다남(성취) 수반(길상) 아예염(이길 수 없는, 최고의~)

살바(일체)보다남(귀신, 정영精靈)

<저, 청경이란 명성이 높은 마음의 근본에 회귀하옵니다.

일체의 목적, 일체의 이익을 성취하시고 길상으로서 일체의 모든 정영들이

이길 수 없는 분에게 귀의합니다.>

바바말아(탄생하다, 존재하다, 있다, 삶의 길) 미수다감(청정공덕) 다나탸(이와 같이~,또는 나아간다)

 옴 아로계아로가('광명, 명조明照,안목眼目,주시注視, 관찰자)

마지로가(세간에서 공경하는, 지혜로운 사람) 지가란제(초월)

혜혜(오! 라는 감탄사, 또는 따른다) 하례(신의 이름, 또는 실어나른다, 오르다)

마하(크다)모지(보리) 사다바(살타, 보살) 사마라 사마라(기억하다) 하리나야(마음, 진언)

<청정공덕하신 분이시여, 광명과 지혜로 세간을 초월하신 분이시여! 오! 관세음이시여,

우리를 피안에 오르게 하소서.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하여 주소서, 마음에 진언을 새겨주소서.>

구로구로(작위作爲) 갈마(업) 사다야 사다야(승리자, 성취하다)

<악업을 승리하신 분이시여! 성취케 하옵소서, 성취케 하옵소서,>

도로 도로(보호) 미연제 (승리하다, 조복받다, 아무도 이길 수 없다) 마하 미연제(큰 승리자)

<우리를 보호하여주소서. 대 승리자시여,>

다라 다라(수지受持, 보존) 다린 나례(옹호하는 주인) 새바라(자재자, 주인)

자라 자라(행동하다) 마라(더러움, 번뇌) 미마라 아마라(더러움을 벗어난)

 몰제(훌륭한 모습, 아름다운 모습) 예혜혜(강림하다, 속히 오다)

<수지 보존하옵소서, 우리를 옹호하는 자재존이시여!

 번뇌를 모두 없앤 훌륭한 모습 속히 강림하소서.>

로계(세간, 세계) 새바라(자재자, 주인) 라아(탐심貪心)미사(독)미 나사야(소멸하다, 잠재우다)

나베 사(진심嗔心)미사(독)미 나사야(소멸하다, 잠재우다)

모하(치심癡心)자라(동요, 행동) 미사(독)미 나사야(소멸하다, 잠재우다)

<세상에 자재로운 주인이시여! 탐심과 진심, 치심의 독심을 소멸시켜주소서.>

호로 호로(취取해가지다, 뿌리채 가져가다) 마라(더러움, 번뇌)호로(거두어가다)

하례(신의 이름, 또는 실어나른다, 오르다) 바나마(연꽃) 나바(중심, 마음, 중앙)(연화성존)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물이 흐르는 모습을 형용하는 의성어. 감로수를 나타냄)

못쟈 못쟈(붓다, 깨달은 자) 모다야 모다야(보리도, 깨달음)

<우리의 번뇌를 모두 가져가소서, 연꽃에 오른 연화성존이시여!

감로법수를 유출하시어 깨치게 하소서,깨달게 하소서.>

매다리야(어여삐여김, 자비스러운, 인정이 깊은) 니라간타(청경靑頸관음)

가마사(애욕, 욕망, 원망) 날사남(바라본다, 부수다)

바라 하라나야(기쁨, 환희, 분발) 마낙(공경, 정의) 사바하(성취) 싣다야(성취) 사바하(성취)

<자비로운 청정성존 관세음보살님이시여!

모든 애욕 파하고 기쁨과 공경으로 성취케 하소서, 이루어주소서.>

마하(크다) 싣다야 사바하(성취) 싣다(성취) 유예(요가, 자재) 새바라야(자재자, 주인) 사바하

<크게 성취되게 하소서.

 자유자재로 성취되게 하는 관세음보살님! 성취되게 하옵소서.>

니라간타야(청경靑頸관음)사바하(성취)

<청경관음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바라하(산돼지) 목카(얼굴, 모습) 싱하(사자)목카야(얼굴, 모습) 사바하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나마(연꽃) 하따야(지니다) 사바하

<연꽃을 들고 계신 관음보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자가라(큰 수레바퀴) 욕다야(전쟁, 전투) 사바하

<큰 바퀴를 들고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상카(소라)섭나네(나팔소리) 모다나야(보리, 깨달음) 사바하

<법소라 나팔 소리로써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마하(크다)라 구타(곤봉, 방망이) 다라야(지님, 가짐) 사바하

<큰 곤봉을 가진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바마(왼쪽)사간타(어깨) 니사(모서리) 시체다(굳게 지키다)

가릿나(검은색) 이나야(승리자, 여래, 깨달은 자) 사바하

<어깨위에 검고 울퉁불퉁 모가 난 무기를 메시고 굳게 지켜주시는 관음존이시여 성취되게 하소서.>

(무서운 무기를 들고 불법승삼보와 불법인연중생들을 수호하시는

화엄팔부 금강신장님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먀가라(호랑이)잘마(가죽) 이바(의복) 사나야(옷을 입다) 사바하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산신령의 모습을 한 관세음보살님)

나모(귀의)라 다나(보배, 거룩한, 최고의~)다라 야야(보호자)

나막(귀의)알야(성스럽다) 바로기제 새바라야(아바로기떼 새바라야, 관세음보살님의 본명) 사바하 (세번)

<거룩한 불법승 삼보님께 귀의합니다.

자비롭고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세번)

 (원래 혼자 공부하려고  여러 곳에서 자료를 퍼와서 정리했다가 공개하게되서 어디서 퍼왔는지 정리를 해 놓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