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슨 어떻게 이런 생각 - simseun eotteohge ileon saeng-gag


아메리칸 크라임스토리 베르사체 편을 감명깊게 봐서 바로 이어서 전편인 OJ심슨 사건 까지 이어서 봤습니다.
OJ심슨이 전 부인과 백인남성 1명에 대한 살인용의자로 지목되어 재판이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용의자쪽 변호인단에 의하여 살인사건에서 흑백 구도로 물타기되었고 그 결과로 OJ심슨은 무죄로 풀려났습니다.
드라마 마무리에서 제작진이 보여주고자 한 뉘앙스는
OJ심슨이 진범이지만 인정차별 이슈로 몰고갔기 애문에 이런 결과가 일어났고 흑인사회는 열광했다. 이정도인것 같은데
별 관심없던 저도 심슨은 유죄지만 말도안되는 재판으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정도로 알고 살았는데요
미국 현지 흑인사회에선 현재의 시선으로 봤을때 이 사건에서 심슨의 무죄를 믿고있을까요. 아니면 심슨은 당연히 유죄이지만 그 동안 박해 받았던 흑인탄압에 대한 승리일 뿐이라고 생각할까요?
드라마를 막 끝까지고 보고 여운이 남아서 질문드려봅니다.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

최종 변경일자: 2019-08-25 14:56:41 Contributors

짤방 관련 항목명은 맞춤법이 틀려도 원래 짤방 문구대로 작성되지만, 맞춤법 오류를 정정해보면 무슨_마약(을)_하시길래[1]_이런_생각을_했어요가 맞다.


무슨 마약 하시길래 이런목차를 썼어요?

1.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개요를 썼어요? 2.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 일들이 있어요?


1.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개요를 썼어요? ¶

"What were you guys smokin' when you came up with that?"
"무슨 마약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짤방 겸 명대사로, 유래는 심슨 가족 시즌 8의 14화 "The Itchy & Scratchy & Poochie Show" 8분 20초~40초 사이에서 오토 만이 하는 대사다.


이치와 스크래치의 새 등장인물인 개 푸치의 성우를 뽑는 과정에서 나온 대사. 위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감독은 "로티서리 치킨을 먹고 있었어. (We were eating rotisserie chicken.)" 라고 대답했다.

[2]

원문도 원문이지만 자막 제작자의 센스를 거쳐 중독성 있는 대사가 되었다. EBS 더빙판에서는 "대체 뭘 먹고 이런 멍청이 같은 생각을 해냈어요?", 치킨은 양념치킨으로 번역했다.

영미권에서는 what were they smoking when~, are you on crack? 같은 표현이 자주 쓰이는데, 일반인이 생각하기 힘든 기발한 생각이나 말도 안되는 생각 등에 많이 사용된다. 다만 저 대사를 말한 오토는 진짜 마약 중독자이기 때문에 정말로 궁금해서 물어보았을 수도 있다.

본 번역문도 "무엇을" 피웠냐 보다는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냐" 라는 의미를 강조하면서 원문처럼 What(무슨)으로 시작되므로 자막과 원문을 같이 듣기에 거슬림이 없어 적절하게 번역되었다. 한국어에서 '무슨'은 '어떤'과 달리 영어 what과 비슷하게 감탄사 역할도 하기 때문에 ("무슨 이런 사람이 다 있어!") "무슨 마약을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는, '무슨'을 의미없는 감탄사로 취급하면 "마약을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라는 의미가 생겨서, 중의성까지 지니게 된다. 원문의 의미 역시 중의적이다.




2.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 일들이 있어요? ¶

영국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Samuel Taylor Coleridge)는 진짜로아편을 복용하고 시를 썼다. 시적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 일부러 복용한 건 아니고,

[3]

평소 극심한 류마티즘에 시달렸는데, 이게 당시 의학 수준으로 치료가 불가능했고 진통제를 처방하는 수준이었는데 그게 아편이었다. 아플 때마다 아편을 먹으니 당연히 중독될 수 밖에.

그렇게 약에 취한 상태에서 나온 시 중 하나가 영시의 걸작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쿠블라 칸' (Kubla Khan, 쿠빌라이 칸)이다. 이 시는 완전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미완성작이다. 왜 완성을 못 했는고 하니, 콜리지가 약에 취해 얻은 영감으로 시를 써내려가던 도중, 집을 방문한 잡상인을 쫓아내느라 긴 시간을 낭비했는데, 쫓아내고 나니 영감은 온데간데 없고 시를 계속 쓸 수가 없어서 미완성으로 두었다.

더글러스 애덤스의 소설 더크 젠틀리의 성스러운 탐정 사무소에서는 사실 콜리지의 시는 외계인의 유령이 두뇌에 간섭해서 쓴 것이며, 지구 생명의 기원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음이 밝혀진다. 나중에 주인공 일행은 타임머신으로 콜리지가 시를 쓰는 것을 방해하고, 그 덕분에 인류는 절멸의 위기에서 벗어난다.

1994년 월드컵 때 아르헨티나는 세대 교체에 실패해서 플레이오프까지 떨어지는 수모를 겪는다. 이 와중에 디에고 마라도나를 다시 불러들여 본선 진출에 성공했는데, 조별 리그에서 마라도나는 지역 예선 때의 아르헨티나와는 달리 그리스와 나이지리아를 연달아 패배시켰지만 도핑테스트에서 걸리는 바람에 퇴출당했다. 마라도나 없는 아르헨티나의 전력은 수직하강했고 결국 아르헨티나는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AVGN의 46편에도 제임스 롤프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의 너구리 마리오를 보고 "Man, what kind of crack were they smoking?" (나참, 무슨 마약을 맞은건지...) 라고 말했다. 너구리 마리오의 모티브인 바케다누키를 모르는 입장에선 이런 반응이 나온 것이다.

영화 아바타에도 비슷한 대사가 나온다. 나비족에게 신성한 나무를 불도저로 밀어버린 파커 셀프리지에게 그레이스 어거스틴 박사가 항의하며 그 나무의 중요성을 설명하자, 셀프리지는 기분 나쁘게 웃으며 "What the hell have you people been smoking out there?"라고 물어본다. 이것도 "대체 저기 나가서 무슨 마약하고 왔길래 그런 소리를 하지?"라는 의미.


PCR 역시 마약을 복용하고 개발한 기술이다.

스티븐 킹도 소설 쓸 때 마약에 손댄 적이 있다고 고백했다.


사이키델릭 록 분야의 사람들 상당수가 마약을 했다. 원래 음악 자체가 '마약을 한 듯' 환각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띠는데, 이런 음악을 하기 위해 직접 마약을 한 것이다. 비틀즈

[4]

와 지미 헨드릭스도 복용했다. 프랑크자파, 킹 크림슨은 의외로 마약에 손을 대지 않았다.

[5]

  • 고칠수 없음
  • 찾기
  • 비슷한 쪽
  • 업데이트
  • 올린 파일


[JPG image (18.71 KB)]



무슨 마약 하시길래 이런목차를 썼어요?

1.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개요를 썼어요? 2.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일들이 있어요?


1.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개요를 썼어요? ¶


"What were you guys smokin' when you came up with that?"
"무슨 마약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



이치와 스크래치의 새 등장인물인 개 푸치의 성우를 뽑는 과정에서 나온 대사인데, 사실 푸치 같은 캐릭터를 만든 것 자체는 그렇게 약을 빤 것이라고 평가하긴 어렵다. 하지만 성우를 뽑는 과정이 약을 빨았지 그리고 애니메이션도 위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감독은 "로티서리 치킨을 먹고 있었어.(We were eating rotisserie chicken.)" 라고 대답했다.

[2]

원문도 원문이지만 자막 제작자의 센스를 거쳐 더욱 중독성 있는 대사가 되었다. EBS 더빙판에서는 "대체 뭘 먹고 이런 멍청이같은 생각을 해냈어요?"라고 번역했다. 치킨은 양념치킨으로 번역.

영미권에서는 what were they smoking when~ 이라든가 are you on crack? 같은 표현은 원래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일반인이 생각하기 힘든 기발한 생각이나 말도 안되는 생각, 또는 그런 창작물, 글, 자료 등이 올라왔을 때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다만 저 대사를 말한 오토는 마약중독자이기 때문에 본인은 정말로 궁금해서 물어보았을 수도 있다(...)

본 번역문도 "무엇을" 피웠냐 보다는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냐" 라는 의미를 강조하면서 원문처럼 What(무슨)으로 시작되므로 자막과 원문을 같이 듣기에 거슬림이 없어 적절하게 번역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어떤'으로 의역하지 않고 '무슨'으로 번역한 것은 정말 잘한 일이다. 왜냐하면 한국어에서 '무슨'은 '어떤'과 달리 영어 what과 비슷하게 감탄사 역할을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무슨 이런 사람이 다 있어!") 그러니 "무슨 마약을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는, '무슨'을 의미없는 감탄사로 취급하면 "마약을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했어요?"라는 의미가 생겨서, 중의성까지 지니게 된다. 실제 이 번역을 처음 보았을 때, 이런 의미로 생각한 한국인들도 많았을 것이다. 원문의 의미도 역시 중의적이다. 띄어쓰기가 제대로 안 되어 있지만 이러한 장점에 비하면, 중요한 점은 아니다.




2.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일들이 있어요? ¶

보통 생각하기 힘든 생각을 했거나 그런 창작물, 글, 자료 등이 올라왔을 때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참고로, 영국의 시인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Samuel Taylor Coleridge)는 진짜로 약(아편)을 빨고 시를 썼다. 다만 시적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 일부러 복용한 건 아니고,

[3]

평소 극심한 류마티즘에 시달렸는데 (겪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통증이 엄청나다) 이게 당시 의학 수준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했고 가능한 치료라고는 진통제를 처방하는 수준이었는데 그게 아편이었다. 아플 때마다 아편을 먹으니 당연히 중독될 수 밖에. 그렇게 약에 취한 상태에서 나온 시 중 하나가 영시의 걸작 중 하나라고 일컬어지는 '쿠블라 칸'(Kubla Khan, 쿠빌라이 칸)이다. 그런데 심지어 이 시는 완전한 형식을 갖추지도 못한 미완성작이다. 왜 완성을 못 했는고 하니, 콜리지가 약에 취해 얻은 영감으로 시를 써내려가던 도중, 집을 방문한 잡상인을 쫓아내느라 긴 시간을 낭비했는데, 막상 쫓아내고 나니 영감은 온데간데 없고 시를 계속 쓸 수가 없어서 미완성으로 두었다고 한다. 더 빨지 그랬냐

[4]

1994년 월드컵때 아르헨티나는 세대교체에 실패해서 플레이오프까지 떨어지는 수모를 겪는다. 이 와중에 디에고 마라도나를 다시 불러들여 본선에 진출하는 데에 성공했는데 조별리그에서 마라도나는 지역예선때의 아르헨티나와는 달리 그리스와 나이지리아를 연달아 쳐바르는 위용을 과시했다. 그러나 도핑테스트에서 걸리는 바람에 퇴출당했다. 이 때 도핑테스트에 참가했던 의료진이 마라도나에게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렇게 경기를 했어요?"라 말했다. 마라도나 없는 아르헨티나의 전력은 수직하강했고 결국 아르헨티나는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AVGN의 46편에도 제임스 롤프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의 너구리 마리오를 보고 "Man, what kind of crack were they smoking?" (나참, 무슨 마약을 맞은건지...) 라며 괴상함에 감탄하였다. 모티브인 바케다누키를 모르는 제임스 롤프에게 이런 반응을 당연할지도 모른다.

영화 아바타에도 비슷한 대사가 나온다. 나비족에게 신성한 나무를 불도저로 밀어버린 파커 셀프리지에게 그레이스 어거스틴 박사가 항의하며 그 나무의 중요성을 설명하자 셀프리지는 기분 나쁘게 웃으며 "What the hell have you people been smoking out there?"라고 물어본다. 이것도 "대체 저기 나가서 무슨 마약하고 왔길래 그런 소리를 하쇼?"라는 의미.

여담으로, 부천시 상동도서관 지하 1층 로비 벽 한 켠에 견학오는 어린이들을 위해 마련되어 있는 한국작가들에 대한 정보를 다루는 코너 맨꼭대기에 대문짝만하게 "작가님, 무슨 상상을 하셨길래 이런 글을 쓰셨어요?"라는 글귀가 있다.

영국 공영방송 BBC는 방송국 차원에서 약을 빨았다. 정말로. 심지어 텔레토비는 마약하고 제작...

PCR역시 마약 빨고 개발한 기술이다.

스티븐 킹도 소설 쓸 때 약을 빤 적이 있다고 털어놓았다.


사이키델릭 록을 한 사람들도 상당수가 마약을 했다. 원래 음악 자체가 '마약을 한 듯' 환각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띠는데, 이런 음악을 하기 위해 직접 마약을 한 것이다. 비틀즈

[5]

와 지미 헨드릭스도 지나치지 않았다.그리고 상당수는 저세상 갔다 존 레논은 총맞아 죽은 건데 의외로, 프랑크자파나 킹 크림슨같은 밴드는 마약을 한사발 들이킨 음악을 하면서도 마약에 손을 대지 않았다.

[6]

리그베다 위키에서도 가끔씩 볼수 있는 표현이며 당연히 사용될 때는 일반적으로 취소선이 그어지는 편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