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단점 - peulleogeu-in haibeulideu danjeom

By Normal Sound 2017. 12. 8. 16:08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장점과 단점

자동차 블로그 프리카톡입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대해서 간략하게 내용 준비하며 장단점 내용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내용 확인하는데, 도움되었으면 좋겠네요.

하이브리드 란?

내연기관 + 주행 모터를 이용해 주행하는 시스템을 적용한 모델입니다. 플러그인 모델과 한 가지 다른 것은 배터리 용량은 아주 작은 수준으로 적용되고 있어 내연 기관의 보조 모터를 적용한 시스템 차량입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은 처음 출발할 경우 많은 힘을 쓰지 않는 구간은 전기 모터를 이용하게 되죠. 고속으로 힘을 많이 받는 구간은 엔진 개입을 하게 됩니다.

위 정보에서 나타낸 내용은 도시의 많은 차량 속에서 정차가 많은 곳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모터를 이용한 시스템이 적용되죠. 반면 고속 구간의 연비 좋은 구간은 엔진 개입으로 연비를 높이는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란?

전기차 배터리 충전의 플러그인 + 하이브리드 시스템 조합된 차량이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일반 하이브리드 비교해서 배터리 용량의 차이가 높습니다. 전기차처럼 이용 가능한 배터리 용량이 탑재하고 있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경우 전기차 + 하이브리드 차, 두 차량을 함께 이용할 수 있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일상의 주행은 하이브리드 차량처럼 (엔진 + 전기모터) 이용한 주행으로 작동합니다. 필요에 따라 가까운 마트를 갈 경우 EV 모드 (내연기관을 제외한 전기 모터)를 이용해 전기차처럼 사용할 수 있죠. 

국내 경우 모터 성능을 높이지 않은 엔진과 연동된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어 풀 액셀을 밟거나 힘을 많이 받는 주행 구간은 EV 모드 주행 중에도 엔진 개입이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장점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매력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국내 많은 보급이 되지 않은 전기 충전소 때문에 전기차를 지방까지 운행한다는 것은 어려움이 있죠.

1. 충전소가 많은 곳에서 전기차처럼 이용할 수 있다.

2. 지방 여행 또는 출장 시 충전소가 없을 경우 내연기관을 이용한다.

3. 취등록세 140 만원 할인, 국가 보조금 500 만원 지원이 된다.

4. 전기차처럼 추첨이 아닌 바로 구매 가능하다.

5. 전기차 모드를 많이 이용할수록 유지비는 저렴하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단점

구매를 고려한다면 아래 단점을 고려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능의 차이보다는 가격 대비 효율성을 따지는 것이 먼저라고 할 수 있죠.

1. 하이브리드와 큰 차이 없는 연비다.

2. 하이브리드 연비가 대부분 높다.

3. 플러그인 대비 하이브리드 차량은 더 저렴하다.

4. 배터리 용량은 전기차 비해 많이 낮다.

5. EV 모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짧다.

6. 전기차 추첨 구매 가격보다 플러그인 모델 더 비싼 가격이다.

결국 위 내용을 접하게 되면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 차량의 중간에서 고전을 겪는 경우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

도심에서 출퇴근 용으로 이용하거나 가정에서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분은 전기차 추첨이 어려운 만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합니다. EV 모드 활성화를 이용해 전기차만큼 저렴한 유지비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죠.

주의 사항은 내연기관 + 모터 성능을 조합된 차량이기에 자동차세는 배기량에 따라 부과한다는 점 구매할 예정이라면 참고해야겠네요.

라이프/생활정보

하이브리드(H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이와 장단점 비교 분석

혀짧은 스네이크 2021. 4. 26. 20:55

전기 차량을 타기에는 장거리 운전이 부담 되고 내연기관 차를 타기에 기름값이 걱정된다면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각해볼 만합니다. 하이브리드 차량이 연비와 정숙성뿐만 아니라 주행 성능까지 향상됐지만 순수 전기 차나 수소 전기차는 아직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을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요즘 하이브리드 차량이 인기가 많아지면서 하이브리드 전기차(H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오늘은 두 차량의 특징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이브리드카는 두 가지 이상의 구동 장치를 가진 자동차를 말합니다. 주로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여 차량을 움직입니다. 휘발유를 주원료로 사용하면서 전기모터를 보조적으로 활용해 연비를 높이는 친환경 차로 순수 전기차나 수소 전기차 등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 단계의 차량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크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와 마일드 하이브리드 전기차(MHEV)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사용량에 따라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와 일반 하이브리드(HEV)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마일드 하이브리드(MHVE) 방식은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처럼 엔진을 가지고 있으면서 모터와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을 말합니다. MHEV는 회생 제동, 엔진의 저효율 구간에서 동력 보조로 연비를 향상합니다. 차량이 출발할 때 가속력에 힘을 보태는가 하면 시기적절하게 필요한 곳에 에너지를 보냅니다.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방식은 충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고 회생 제동 및 엔진 발전에 의해서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방식은 플러그인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처럼 외부 충전이 가능합니다. PHEV는 HEV처럼 엔진과 모터+고전압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HEV보다 용량 및 전압이 큰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어 HEV보다 EV 모드로 길게 주행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는 완충 후 보통 40~60km를 주행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평일 출퇴근, 시내 주행 정도만 할 경우 1일 평균 주행거리가 40km 정도인점에 착안해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방식은 주행할 때 보통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고속 주행하거나 전기모터가 방전되면 가솔린 엔진을 사용합니다. 일반 내연기관 엔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전기로만 달릴 수 있어 효율성 면에서 HEV보다 한 단계 진보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방식은 용량이 큰 고전압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어 차량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매일 배터리를 충전해서 쓴다면 효율적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동급 내연기관 차량보다는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국산 차 중에는 니로 플러그 하이브리드가 있고 외제 차 중에는 포드의 익스플로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