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안녕하세요?

더마라이언입니다.

날이 더워지면서 모기나 다른 벌레에 물려 오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모기에 물린 경우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좋아지지만

간혹 알러지반응이 강하게 오거나, 흔하지 않은 종류의 벌레에 의한 경우는

피부과를 내원하여 치료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곤충물림>

모기, 벼룩, 빈대, 이, 파리, 개미 등 다양한 곤충에 물려서 생기는 피부손상과 피부반응.

피부반응은 곤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곤충의 타액 속에 포함된 독소나

물질의 주입으로 인해 발생함.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일반적인 모기물린 후 반응

일반적으로 모기에 물리면 위와 같은 정도의 피부반응이 발생합니다.

가만히 놔두면 보통 2~4일이면 어느정도 호전되고,

가려워서 긁더라도 3~7일이면 흉터없이 좋아집니다.

1) 어떤 경우 피부과를 가야 하나요?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모기물린 후 강한 알러지반응들

흔하게 보는 모기에 물리더라도 간혹 알러지반응이 강하게 올 때가 있습니다.

보통 평상시 거주하는 지역 외에 다른지역에 가서 물리는 경우나,

여러 곳을 물려 알러지 유발물질이 피부에 많이 주입되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일반적인 모기물림은 물린부위가 살짝 부풀어오르고 붉어지는 정도이지만,

반응이 강하게오면 중심부가 튀어나오고,

주변부가 많이 붓고, 경우에 따라서는 물집도 생깁니다.

가려증이 심할뿐만 아니라 피부조직이 부어서 통증도 동반됩니다.

이런 경우는 피부과를 방문하여 단기간 경구 스테로이드제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고

국소스테로이드제 연고를 발라야 빠르게 호전됩니다.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모기물린 후 이차적으로 발생한 농가진

그리고 가려움증이 심해 많이 긁게되면 경우에 따라 세균이 침입해

농가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모기에 물리지 않은 부위에도 퍼질 수 있습니다.

보통 소아에서 흔하며 항생제 복용이 필요합니다.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좌) 페더러스피부염, (우) 이를 유발하는 딱정벌레

다음의 두 가지 경우는 피부과의사들도 진단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더러스피부염은 딱정벌레에 의해 발생합니다.

개미와 비슷한 모양이며 날개가 있으나 기어다니기도 합니다.

이는 벌레에 물려서 생기는게 아닌 벌레가 피부위를 지나가면 분비되는 체액성분인

페더린이라는 물질에 의해 발생합니다.

"Kissiing 마크"라는 대칭적인 병변이 특징적으로

대상포진과 매우 비슷하게 보일수도 있습니다.

경구 스테로이드와 항히스타민제, 국소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호전됩니다.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좌) 송충이피부염, (우) 이를 유발하는 송충이

송충이피부염은 송충이의 체모와 접촉해서 발생합니다.

접촉한 부위 뿐만 아니라 다른부위에도 발생하며,

수분 내에 오돌도돌하게 튀어오릅니다.

가려움증 및 통증이 동반되며 긁게되면 주위로 더 퍼지게 됩니다.

역시 경구 스테로이드와 항히스타민제, 국소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호전됩니다.

2) 물파스나 버물리를 사용하는건 어떤가요?

모기 스테로이드 연고 - mogi seuteloideu yeongo

모기나 벌레에 물리면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이 버물리나 물파스입니다.

버물리 성분을 보면,

* 디펜히드라민염산염 :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모기나 벌레의 침으로 나는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

* 디부카인염산염 : 마취제 성분이라고 보면 됩니다. 가려움을 효과적으로 감소

* L-멘톨 : 가려움을 억제하고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게 해줌

* 살리실산메틸 : 휘발성을 지닌 소염 진통제

* dl-캄파 : 멘톨처럼 시원한 냉각자극효과을 주는 성분

* 에녹솔론 : 가려움 및 자극 완화, 항염 효과

물파스 성분을 보면,

* L-멘톨 : 가려움을 억제하고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게 해줌

* 살리실산메틸 : 휘발성을 지닌 소염 진통제

* dl-캄파 : 멘톨처럼 시원한 냉각자극효과을 주는 성분

*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모기나 벌레의 침으로 나는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

* 노닐산바닐릴아미드: 고춧가루 유사성분으로 혈행개선 촉진으로 이물질의 배출을 돕고 진통, 소염 성분의 침투를 증가시킴

* 티몰: 방부제, 살균작용

두가지 모두 곤충 물린 곳의 가려움증을 줄여주고 시원한 느낌을 줘서

좋아지게 하는 원리이며,

물린부위의 염증을 직접 가라앉히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가볍게 모기나 곤충에 물린부위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위에 이야기 한 것처럼 알러지 반응이 강하게 오거나

특수한 곤충에 의해 발생한 피부질환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저는 저희 아이나 제가 모기물렸을 때에는 버물리나 물파스말고

스테로이드연고를 바릅니다.

얼굴부위는 6~7단계 정도의 강도를(락티케어HC2.5%, 히드로코르티손연고 등),

나머지부위는 4~5단계 정도의 강도를(더모타손, 데타손 등) 바릅니다.

그럼 하루정도면 왠만하면 가라앉습니다.

스테로이드연고의 부작용을 염려하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하루2회 소량 도포하는 것으로는 2주정도 사용해도 아무런 부작용이 생기지 않습니다.

오히려 모기나 벌레 물린 곳을 빨리 안가라앉히면

색소침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연고 바르는 걸 추천드립니다.

3) 애기들이 모기물리면 항상 많이 붓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보통 모기나 벌레에 물려서 피부과를 내원하는 경우는

성인보다 소아에서 흔합니다.

모기나 벌레에 의한 알러지 반응은 소아에서 더 강하게 오며,

보통 2~7세에서 더 그렇습니다.

이런 반응들은 8세 이상이 되면서 호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나이가 들어도 지속적으로 반응이 강하게 오면

알러지 수치 검사를 한번 받아볼 필요는 있습니다.

또한 많이 긁어서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농가진의 경우에도

소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걱정안하셔도 되겠습니다.

모기나 벌레 물렸을 때에도 버물리나 물파스만 사용하지말고

집에 스테로이드연고가 있다면 사용하는게 더 좋습니다^^

혹시 평상시보다 많이 붓거나 잘 가라앉지 않는다면

피부과를 방문하여 진료보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