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공유기 암호키 - kt gong-yugi amhoki

올레 kt를 장기간 사용중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바보같이(?) 5G가 아닌 2G로만 계속 접속해서 사용하게 되더라구요.

사실, 수년 전만 하더라도 둘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해도 인터넷 속도의 차이가 별로 느껴지지 않았는데.. 요즘은 다른가 봅니다. kt 서비스에 가입하면 전용 공유기를 임대할 수 있는데요..

'기가 와이파이 홈'이라는 공유기에요. 연결해보면 아시겠지만 2G와 5G 신호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글은 기가 와이파이 홈 비밀번호 조회 방법에 대한 내용이에요.

공유기 위에 '기가 와이파이 홈(GIGA WIFI home)'이라는 글씨가 보입니다. 5G 신호를 제공하는 공유기라면 당연히 조금 더 빠른 속도의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아이폰으로 접속한 kt 와이파이 공유기 신호가 보입니다. 대충 봐도 아시겠지만.. 접속된 와이파이는 기가 와이파이가 아닌, 일반 와이파이 신호네요.

저렇게 기가 와이파이에 접속이 가능하고 더 빠른 신호를 사용할 수 있음에도,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 너무 아깝죠 ㅠㅠ 그런데 문제는 kt 기가 와이파이 신호를 선택하면 암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그런데 공유기 뒤에 있는 그 암호가 아님 ㅠㅠ 이런 경우.. 암호를 어떻게 찾아야 할까? 고민할 수 있는데.. 알고보면 쉽습니다.

아이폰 사파리 주소창에 homehub.kt.com이라고 입력합니다.

그러면 위 오른쪽과 같은 화면이 나올거에요~ 페이지가 열리면 굳이 화면을 pc버전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구요. 곧바로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kt 기가 와이파이 홈 비밀번호 조회 방법

홈허브 접속 아이디는 'ktuser'~ 비밀번호는 'homehub'입니다. 정확하게 입력하고 그 바로 밑의 자동문자까지 입력하면 바로 로그인이 되는데, 이 때 '간편개통설정(5G)'를 선택하세요~

그러면, 현재 접속 설정과 무선랜명.. 바로 밑에 암호키가 보입니다. 이 비밀번호를 사용하면 되는데.. 혹시라도 바꾸고 싶을 경우, 여기서 변경하면 됩니다^^ 무선랜 신호명까지도 변경이 가능하구요.

그런데 그렇게 접속을 하긴 했는데..기가 와이파이 신호명밑에 '보안에 취약함'이라는 글씨가 보이네요? 이유가 뭘까요..

TKIP연결은 안전하지 않으니, AES로 바꾸라는 이야기네요. 이 역시도 똑같은 설정 페이지로 들어간 다음에 Encryption Type만 변경해서 적용하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변경한 다음에, 아이폰에서 다시 kt 기기 와이파이 신호에 접속해보면.. 더 이상 '보안에 취약함'이라는 글씨가 보이지 않게 됩니다. 쉽죠?

어느 사이트로 접속해야 하는지? 와이파이 홈의 아이디, 비밀번호만 알면 조회 및 변경은 일사천리로 해결됩니다. 꼭 참고하세요~

📌올레 와이파이 비밀번호 확인 및 변경방법

올레 와이파이 비밀번호 확인 및 변경방법

이미 와이파이 공유기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은 일반인들에게도 보편화가 되었고 인터넷 검색만 하더라도 같은 내용이 많기에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지금 이야기하려고 하는 내용은 'iptime'

gong6587.tistory.com

KT 공유기 설정을 통해 아이디와 암호를 간단하게 바꿀 수 있다. 
숨겨둔 SSID를 활용하면 안전하게 나만 사용할 수 있다.

KT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더듬이 2개 달린 공유기를 갖고 있을 겁니다. Wifi를 입력하려고 뒷면을 보니 아이디와 암호가 이름이 너무 괴상하여 당황하셨다구요? 여기 아주 간단하고, 안전하게 SSID를 사용해 나만의 이름과 암호로 설정법을 공유합니다.

요약
1. 초기 인터넷 연결 후 설정 페이지에 접속한다.

2. 무선랜 설정(SSID)을 통해 2.4 Ghz와 5 Ghz의 암호와 아이디를 바꾼다.
3. SSID를 숨김 처리하면 직접 입력하여 나만 사용할 수 있다.

0. KT 공유기, 따로 설정해야 하는 이유

2021년 10월 25일, 오전 11시 이후 KT 인터넷망에 문제가 생겼다. 전국적으로 난리가 난 것도 모르고 우리 집 문제 줄 알고 고생했다. 하다 하다 안돼서 KT 서비스 센터에 전화하니 연결도 안 되더라. 그때 알았다. 우리 집 문제가 아닌 것을.

KT Wifi 공유기, GiGA Wifi home.

덕분에 오랜만에 KT 공유기 설정에 들어봤다. 괴상망측하게 긴 wifi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느라 씨름했던 때가 떠올랐다. 처음 설정할 땐 기억하기 쉽게 아이디와 암호를 바꿨다. 그러자 해킹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인터넷이 너무 느려서 확인해 보니 내가 모르는 기기들이 동시 접속해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우리의 정보는 항상 노출되어있다.

이 포스팅을 통해 SSID를 설정하고, 숨김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당신의 정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을 것이다.

1. PC나 모바일 기기를 KT 인터넷에 연결

공유기 설정에 접속하기 위해선 먼저 KT 인터넷에 연결돼야 한다.

기본적으로 설치된 공유기의 하단을 보면 우리 집 무선랜 명과 암호키가 나와있다.

해당 무선랜명을 선택하여 암호키를 입력한다.

Wifi로 연결할 경우 적혀있는 것을 선택하여 접속하면 되며, 방법이 어려울 경우 LAN선을 통해 PC 등에 직접 연결하면 자동으로 이더넷 연결이 확인될 것이다. 이제 모든 준비는 끝났다.

2. 설정 페이지 접속

PC나 모바일을 이용해 인터넷 페이지에 접속한다.

접속 주소 : 172.30.1.254

위 숫자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다.

KT wifi 설정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한다.

2-1. 172.30.1.254로 접속이 안된다면?

제대로 연결한 것이 맞다면, 사용하는 공유기의 게이트웨이 주소가 다른 것일 수 있다.

실행창에서 cmd를 입력하면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 할 수 있다.

이럴 땐 "윈도우 + R"키를 눌러 실행창을 띄운다. 이후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킨다.

명령어 ipconfig를 통해 본인의 게이트 웨이를 확인 할 수 있다.

명령 프롬프트가 뜨면 "ipconfig"를 입력하여 기본 게이트웨이를 확인한다.

필자의 경우 동일한 172.30.1.254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다르다면 새롭게 뜬 ip주소를 입력하면 관리 화면에 접속할 수 있다.

홈 허브 관리 주소로 연결되었다면, 초기 아이디와 암호는 ktuser / homehub이다.

ID : ktuser
PASS : homehub

2-2. 혹시 아이디 암호를 설정했는데 잃어버렸다면?

아이디는 ktuser로 입력하고, 암호는 공유기에 있는 원래 비밀번호를 넣은 뒤 재설정하기를 실행하면 된다.

3. 무선랜 설정 (SSID)

설정에 들어왔다면 이제 무선랜 설정을 바꿀 수 있다. 

2.4Ghz와 5Ghz 둘다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SSID를 숨겨 놓기 하면 나만 사용할 수 있어 보안에 좋다.

필자의 경우 무선랜 명 옆에 Hide SSID를 체크하여 나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할 경우 다른 사람이 WiFi 연결을 시도 할시 SSID를 직접 입력하지 않는 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안성에 좋다.

다음과 같이 2.4 Ghz와 5 Ghz에 대해 따로 설정할 수 있다.

구형 기기를 사용할 경우 5G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2개 모두 설정해 주는 것을 추천한다.

4. WiFi 연결 (숨겨둔 SSID)

Wi-Fi 설정에서 기타를 클릭한다.

이후 위에서 설정한 wifi SSID와 암호를 입하면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Wi-Fi → 기타 → 다른 네트워크 정보 입력 을 통해 SSID에 접속 할 수 있다.

모르면 킹받는 KT 셋톱박스 UHD설정 및 화질 비교

해상력이 많이 올라온 KT UHD. 하지만, 색 표현력 떨어져 스마트 TV가 있다면 무조건 스마트 TV로 넷플릭스 감상 스마트 TV의 보급과 OTT 서비스의 활성화와 함께 4K UHD 콘텐츠가 대중화되었다. 그럼

goodminam.tistory.com

PC, 무선 인터넷(WIFI) 연결이 안될 때

갑자스런 KT 통신 장애 및 Wifi가 안 잡히는 황당한 상황 시 대처법 갑자기 인터넷이 끊겨버려서 당황했다. wifi가 문제인가 싶어 LAN을 직접 연결해 KT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 보았다. LAN선도 안 된다

goodminam.tistory.co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