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족보 - jeonju-issi yangnyeongdaegunpa jogbo

  • 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비밀번호찾기
  • English

  • Facebook
  • Instagram
  • +82.2.7652124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족보 - jeonju-issi yangnyeongdaegunpa jogbo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족보 - jeonju-issi yangnyeongdaegunpa jogbo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종약원 소개

      • 이사장 인사말

      • 창립 및 연혁

      • 본원기구

      • 임직원

      • 역대 이사장

      • 규정

      • 찾아오시는 길

    • 각종모임 및 월중행사

      • 일정안내

      • 선원화보

      • 행사사진

    • 조직

      • 시도지원 연락처

  • 조선왕실(선원)인물

    • 전주이씨계보

      • 선원계보도

      • 선원(璿源)

      • 선원선계

    • 선원세계(왕계)

      • 목조 ~ 환조

      • 태조 ~ 의민황태자(영왕)

    • 선원파계

      • 왕자군(104왕자)

      • 선원계보 검색

      • 인물 검색

      • 항렬자 검색

      • 관직관아 검색

  • 왕실제향

    • 3대 제향

      • 종묘대제

      • 사직대제

      • 환구대제

    • 능·원·묘 제향

      • 왕릉제향

      • 원·묘제향

      • 칠궁제향

    • 시조·전·궁 등 제향

      • 조경단대제

    • 봉향회 약사

      • 봉향회

      • 왕릉제향 체험학습

  • 종보/간행물

    • 이화보

      • 주요목차 검색

      • 이화보 전문

    • 원고투고 및 광고접수

      • 원고투고 및 광고접수

      • 이화보 신청

    • 간행물

      • 간행물 종류

    • 계좌안내

  • (재)이화장학회

  • 열린마당

    • 공지사항

    • 묻고답하기

    • 문서자료실

  • 통합검색

  • 헌성금확인

양녕대군파 항렬자일람

  1. Home
  2. 조선왕실(선원)인물
  3. 선원파계
  4. 왕자군(104왕자)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족보 - jeonju-issi yangnyeongdaegunpa jogbo

  • 화보
  • 약사 / 연락처
  • 4세 약사
  • 현조약기
  • 현대인물
  • 항렬자일람

양녕대군(讓寧大君) 파의 항렬자 일람표입니다.

시조
로부
터:世
선계·
제왕
시조:世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파조:代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3 세 태종(太宗)
양녕대군(讓寧大君)
東○ ○容 奎○ ○善 承○ ○秀 丙○ ○基 鍾○ ○漢 柱○ ○燮 時○ ○鎬 泰○
시조
로부
터:世
선계·
제왕
시조:世 51 52 53 54 55
파조:代 27 28 29 30 31
23 세 태종(太宗)
양녕대군(讓寧大君)
○植 南○ ○均 錫○ ○求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족보 - jeonju-issi yangnyeongdaegunpa jogbo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족보 - jeonju-issi yangnyeongdaegunpa jogbo

  • 최신글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36대손

저희 친가 큰아버지 딸인 사촌누나가

저희가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36대손이라는데..

혹시 36대손이면.

뭐 무슨 돌림이라든지 향렬?같은게 뭐인지.

36대손에 대해 알수 있는 게 있을까요??

정확히 36대손이라는 개념에 알고 싶습니다

답변 : 님은 전주 이씨 양녕대군파 이시군요.

또 하나는 양녕대군파에서 많은 후손이 태어 낫으나 항렬표는 양녕대군파가 동일합니다.

그리고 항렬이 36세손이시면 너무 높아 아닌 것 같습니다. 다시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확인해 보시시기 바랍니다.

직계존비속을 따질 때는 항상 나(본인)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부모님은 직계존속 이고

직계비속은 질문하신 님의 자녀입니다.

동생들은 직계존속 비속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님이 결혼 하셔서 아기를 낳으면 직계비속이 되며, 아기가 둘이라면 직계비속이 되며, 2명 0명입니다.

헷갈리실 것입니다. 직계존비속을 따질 때는 항상 나(본인)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를 기준으로 부모님은 직계존속, 내가 결혼해서 낳은 자녀가 직계비속입니다. 같은 세대원이라도 형제, 남매, 자매는 존비속관계가 아닙니다.

그냥 형제, 자매, 남매일 뿐입니다. 배우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청약란에 직계존속2명이라고만 명기하시면 됩니다.

직계(直系) 대조표(對照表)

9대조 : 운조부(雲祖父) 또는 운조부모(雲祖父母)

8대조 : 잉조부(仍祖父) 또는 잉조부모(仍祖父母)

7대조 : 곤조부(昆祖父) 또는 곤조부모(昆祖父母)

6대조 : 내조부(來祖父) 또는 내조부모(來祖父母)

5대조 : 현조부(玄祖父) 또는 현조부모(玄祖父母)

4대조 : 고조부(高祖父) 또는 고조부모(高祖父母)

3대조 : 증조부(曾祖父) 또는 증조부모(曾祖父母)

2대조 : 조부(祖父) 또는 조부모(祖父母)

1대조 : 부(父) 또는 부모(父母)

0대(세) : 나(我)를 기준으로한 명칭은,

양녕대군파 항렬표에서 찾아본 결과로는,

조부님 : 시조 ?세 / 파조 ?대(?세) ?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시조 ?세 / 파조 ?대(?세) ?자 돌림이시며,

님은 : 시조 ?세 / 파조 ?대(?세손) ?자 돌림입니다.

님은 전주 이씨 뼈대 있는 왕가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고 꼭 제대로 찾으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전주 이씨와 양녕대군파에 대한 정보입니다.

전주 이씨(全州 李氏)에 대(對)하여

1. 전주 이씨(全州 李氏) 시조(始祖) : 이한(李翰)

2. 전주 이씨(全州 李氏) 유래(由來) :

전주 이씨(全州 李氏) 시조(始祖) 이한(李翰)은 덕망(德望)이 높고 문장(文章)이 탁월(卓越)하여 신라(新羅) 문성왕(文聖王)때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으며 그 후 대대(代代)로 신라(新羅) 시대(時代)에 벼슬을 해왔다.

18세손(世孫)되는 이안사(李安社)는 대대(代代)로 전주(全州)에 살아온 호족(戶族)이었는데 새로 부임(赴任)한 지주의 탐학(貪虐)을 규탄(糾彈)하자 지주가 군사(軍士)를 휘둘러 보복(報復)하려하여 그를 피해 강원도(江原道) 삼척(三陟)으로 피했다가 다시 함경도(咸鏡道)를 거처 원(元)나라 간동으로가 그곳에서 다루가치 벼슬을 지냈고 증손(曾孫)자 되는 이자춘(李子春)이 고려(高麗) 시대(時代)에 공(公)을 세워 사복경(司僕卿)에 이르렀다.

이자춘(李子春)의 아들, 즉(卽) 시조(始祖)의 22세손(世孫) 이성계(李成桂)에 이르러 어지러운 국정(國政)을 바로잡고 배극렴(裵克廉)등 52명의 추대로 왕위(王位)에 오르게 됨으로 조선왕조(朝鮮王朝)를 창건(創建), 전주 이씨(全州 李氏)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3. 전주 이씨(全州 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조선(祖先) 500년을 이끌어온 왕가(王家)이므로 가문(家門)의 번성(繁盛)기를 따로 기술(記述)할 필요(必要)가 없다. 전주이씨(全州李氏)의 1백여 파(派) 중(中)에 으뜸가는 명가(名家)는 밀성군(密城君. 침=세종의 아들)파로써 6명의 정승(政丞)과 3대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했으며,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정종의 아들)파가 부자 대제학(大提學)등 3명의 대제학(大提學)과 영의정(領議政) 1명을 내어 밀성군파(密城君派)에 버금간다.

덕천군파(德泉君派) 다음으로는 3명의 政丞(정승)을 輩出(배출)한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정승 2명을 배출(輩出)한 선성군파(宣城君派), 정승 1명과 숱한 문신(文臣)과 무신(武臣)을 배출(輩出)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등(等)이 뛰어나다.

아래에 수도군파(守道君派)를 소개(紹介)하기로 하고 여기서 계파(系派)를 소개(紹介)한다.

4. 전주 이씨(全州 李氏) 태종대왕 양녕대군파(讓寧大君派) 이제(李禔)

태종

양녕대군파(讓寧大君派) 이제(李禔)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이보(李補)

성녕대군파(誠寧大君派) 이종(李種)

경녕군파(敬寧君派) 이비(李裶)

함녕군파(咸寧君派) 이인(李裀)

온녕군파(溫寧君派) 이정(李裎)

근녕군파(謹寧君派) 이농(李襛)

혜녕군파(惠寧君派) 이지(李祉)

희녕군파(熙寧君派) 이타(李袉)

후녕군파(厚寧君派) 이간(李衦)

익녕군파(益寧君派) 이치(李袳)

5. 전주 이씨(全州 李氏) 양녕대군(讓寧大君派)에 대(對)하여

양녕대군(讓寧大君)은 태종대왕(太宗大王)의 제1남으로 10남 15녀를 두었다.

장남 순성군(順城君)의 휘(諱)는 애(言豈), 시호(諡號)는 희안(僖安)이다.

지중추(知中樞) 평산 신씨(平山 申氏) 자경(自敬)의 딸과 혼인(婚姻)하였으나 후사가 없었으며, 참의(參議) 영일정씨 종성(宗誠)의 딸과 재혼(再婚)하여 오천군(烏川君) 사종(嗣宗) · 헌양군(獻陽君) 사조(嗣祖) · 포산부정(苞山副正) 사원(嗣源) · 이산부정(伊山副正) 사성(嗣盛) 등 4남 4녀을 두었다.

오천군의 자(子)는 희적(希籍), 호(號)는 둔재(鈍齋)이다. 집의(執義) 전의이씨 소(紹)의 딸과 혼인하여

석릉수(石陵守) 철강(鐵崗) · 도양수(道壤守) 철숭(鐵崇) · 반월수(半月守) 철봉(鐵峯) · 임성수(任城守) 철곤(鐵崑) · 봉령군(鳳嶺君) 철암(鐵巖)의 5남 3녀를 두었다.

헌양군(獻陽君)은 판관(判官) 진주 강씨 우(遇)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반성수(班城守) 희인(希仁) · 극포군(極浦君) 희남(希男) · 완구정(完丘正) 소남(小男)의 3남을 두었다.

포산부정(苞山副正)은 진주 류씨 혼(渾)의 딸과 혼인(婚姻)하였으나 후사가 없다. 이산부정(伊山副正) 사성(嗣盛)은 홍주 송씨 평(枰)의 딸과 혼인하여 진성수(珍城守) 면(綿) · 하원수(河源守) 찬(纘) · 추성수(秋城守) 서(緖)의 3남 4녀를 두었다.

차남 함양군(咸陽君)의 휘는 포(言布), 시호는 이안(夷安)이다. 중추원부사(中樞院府使) 고 성이씨 대(臺)의 딸과 혼인하여 부원군(富原君) 진(鎭) · 호산군(湖山君) 현(鉉)의 2남을 낳았다. 또 제주 양씨와의 사이에 봉양수(鳳陽守) 종남(終南) · 파징수(波澄守) 종암(終巖) · 관산수(管山守) 종석(終 石) · 화천군(和川君) 종근(終瑾)의 4남 등 6남을 두었다.

부원군의 시호(諡號)는 양평(良平)이며 하음 봉씨 극화(克和)의 딸과 혼인하여 외아들 구산군(龜山君) 계남(繼男)을 두었다. 호산군의 시호는 소평(昭平)이며 보안부정(保安副正) 수남(壽男) · 진안부정(鎭安副正) 영남(永男) · 안음부수(安陰副守) 순정(順鼎) · 강음부수(江陰副守) 순손(順孫)의 4남을 두었다. 봉양수는 진주 류씨 벽(闢)의 딸과 순흥안씨 눌(訥)의 딸과 혼인하여 육창부수(陸昌副守) 언박(彦博) · 영천부수(靈川副守) 언륜(彦倫) · 빈양정(濱陽正) 언수(彦修) · 비옥령(比屋令)·언광(彦光) · 무창령(茂昌令) 언신(彦伸)의 5남을 두었다. 파징수의 시호는 경신(敬信)이며, 파평 윤씨 자선(孜善)의 딸과 혼인하여 빈양부수(濱陽副守) 세번(世蕃) · 무성부수(武城副守) 세영(世榮) · 청성부수(淸城副守) 세함(世王咸) · 금산부수(錦山副守) 세창(世昌)의 4남을 두었다. 관산수는 여산 송씨 수장(壽長)의 딸과 혼인하여 고산부수(高山副守) 세인(世仁) · 임성부수(任城副守) 세의(世義)의 형제를 두었다.

화천군은 창녕 조씨 징(澄)의 딸과 혼인하여 무림부수(茂林副守) 언성(彦誠) · 예천부수(醴川副守) 언형(彦亨) · 선성부수(宣城副守) 언수(彦修) · 의성부수(宜城副守) 언규(彦奎)의 4남을 두었다.

3남 서산군(瑞山君)의 휘는 혜이며, 안산군(安山君) 김개(金漑)의 딸과 혼인하여, 학림군(鶴林君) 이, 취성군(鷲城君) 경 2남을 두었다. 학림군은 안동 권씨 준의 딸과 혼인하여 외아들 조양부정(兆陽副正) 환(環)을 두고, 취성군은 성주이씨 철근(鐵根)의 딸과 혼인하여 외아들 계림군(鷄林君) 탄(坦)을 두었다.

4남 고정부정(古丁副正)의 휘는 겸(謙)이며, 함평노씨 길창(吉昌)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외아들 구성수(駒城守) 정(靖)을 두었으며, 구성수는 경주 이씨(慶州 李氏) 순(恂)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창녕부수(昌寧副守) 적(勣) · 금마부수(金馬副守) 면(勉) 등 2남 2녀를 두었다.

5남 장평도정(長平都正)의 휘는 흔(?)이며, 파평 윤씨(坡平 尹氏)와 진주 강씨 위(偉)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파평윤씨는 딸 둘을 두고, 진주 강씨는 부림령(富林令) 순(順) · 우성령(牛城令) 석(碩)의 2남과 3녀를 두었다. 부림령의 시호는 정숙(靖肅)이며, 원주 변씨 처관(處寬)의 딸과 혼인하여 수주정(樹州正) 윤인(允仁) · 유제도정(楡梯都正) 윤의(允義) · 덕풍부령(德豊副令) 윤례(允禮)의 3남을 두었다. 우성령은 안동 권씨 종손(從孫)의 딸과 혼인하여 덕창부령(德昌副令) 자인(自仁) · 시천부령(矢川副令) 자의(自義) · 해평부령(海平副令) 자례(自禮) · 화성부령(化城副令) 자지(自智) · 가조부령(加祚副令) 자신(自信)의 5남을 두었다.

6남 계천도정(溪川都正)의 휘(諱)는 성(誠)이며 의령 남씨(宜寧 南氏) 척(倜)의 딸과 혼인하여 1녀를 두었는데 고성박씨 욱(頊)에게 출가(出家)하였다.

7남 봉산부정(蓬山副正)의 휘는 순(諄)이다. 전주 최씨(全州 崔氏) 윤형(允衡)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외딸을 두었는데 문화류씨 인유(仁濡)에게 출가(出家)하였다.

8남 안창정(安昌正)의 휘는 심(諶)이다. 진주강씨 처정(處貞)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임회수(臨淮守) 수(樹) · 사천수(沙川守) 식(植) · 서천수(舒川守)의 3남을 두었다. 임회수는 강릉김씨 상간(尙侃)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이아령(利阿令) 영손(永孫) · 한남령(漢南令) 경손(敬孫) · 풍양령(豊壤令) 효손(孝孫)의 3남을 두었는데 후사가 없다. 사천수는 진주 류씨 의습(義濕)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외아들 용천부수(龍川副守) 지손(智孫)을 두었다.

9남 돌산부정(突山副正)의 휘는 광석(廣石)이다.

여흥 민씨 담(憺)의 딸과 혼인(婚姻)하여 영덕수(盈德守) · 익안수(翼安守) 신손(信孫) · 금사수(金沙守) · 금주부수(錦州副守) · 가연부수(加淵副守) 인손(仁孫) · 장림령(長臨令) 진손(眞孫)의 6남을 두었다. 장림령만 후사가 있고 그 외는 무후이다. 장림령은 김해 정씨 석강(石剛)의 딸과 혼인하여 옥계부령(玉溪副令) 숙손(淑孫) · 은계부령(銀溪副令) 숙령(淑齡) · 헌산부령(탧山副令) 숙근(淑根)의 3남을 두 었다.

10남 금지부정(金池副正)의 휘는 광근(廣根)이며 현풍 곽씨 항(恒)의 딸과 혼인하여 외아들 광산수(光山守)와 1녀를 두었는데 딸은 창원 공씨 승조(承祖)에게 출가하였다. 광산수의 후사는 기록이 없다.

6. 전주 이씨(全州 李氏) 집성촌(集成村)

- 경기도 연천군 중면 도연리

- 충청남도 부여군 초천면 추양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완곡리

-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왕릉리

-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연봉리

- 평안북도 정주군 고덕면 관해리

- 함경남도 북청군 평산면 용전리

- 함경북도 길주군 동해면 석성동

7. 전주 이씨(全州 李氏) 본관지(本貫地) 연혁(沿革)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

전주(全州)는 전라북도(全羅北道)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고대(古代)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由來)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900년(효공왕 4)에 견훤(甄萱)이 무주(武州: 光州)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後百濟)의 도읍(都邑)을 옮겨 백제(百濟) 부흥의 노력(努力)을 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후백제(後百濟)가 망(亡)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設置)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全州)로 회복(回復)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全州牧)이 설치(設置)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改稱)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두었다. 995년에는 강남도(江南道) 관하의 전주순의군절도사(全州順義軍節度使)가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남대도호부로 승격(昇格)되고, 1022년에 전주목(全州牧)으로 개칭(改稱)되어 1곳의 속군(屬郡)과 11곳의 속현(屬縣)을 포함하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전주로 강등되고, 1355년(공민왕 4)에는 부곡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이듬해에 완산부(完山府)로 복구(復舊)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전주 이씨(全州 李氏)의 본향지(本鄕地)라 하여 완산부유수(完山府留守)로 승격(昇格)되었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부(全州府)로 개칭(改稱)되어 조선시대(朝鮮時代)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전주부(全州府) 전주군(全州郡)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全羅北道) 전주군(全州郡)으로 개편(改編)된 이래 1935년 전주면(全州面)이 부(府)로 승격(昇格)하여 독립(獨立)하고 1949년 전주시(全州市)로 개칭(改稱)되었다.

8. 전주 이씨(全州 李氏) 양녕대군(讓寧大君) 항렬표(行列表)

양녕대군(讓寧大君) 파조(派祖)는 시조(始祖)에서 24세손(二十四世孫)

8.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인구수(人口數)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전주 이씨는

1985년에는 총 558,019가구 2,379,537명,

2000년에는 총 808,511가구 2,609,890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