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의 극성 판단 - bunjaui geugseong pandan

분자의 구조를 통해 분자가 극성인지 무극성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는 분자의 구조식과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전기음성도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에 결합 전자쌍이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분자 전체의 전하 치우침을 예측할 수 있게 됩니다.

(전기음성도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제가 전에 올린 포스트를 참고하세요.

예시를 통해 알아볼게요.

이 두 분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 분자는 노란 색과 파란 색 원자가 바뀐 곳이 있다는 것 빼고는 완전히 같은 분자입니다.

이 분자에 대해 전자의 치우침을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전기음성도는 파랑<빨강<노랑 입니다)

(파랑은 수소, 빨강은 탄소, 노랑은 염소 입니다)

위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자가 치우치게 됩니다.

전체적인 전자 치우침의 방향과 극성의 유무를 알아보면,

이렇게 됩니다. cis 는 전자의 전체적인 치우침이 존재하고, 따라서 극성 분자이죠.

그에 반해 trans 는 전자의 치우침을 벡터로 생각하고 합성해보면 상쇄되고, 따라서 무극성 분자입니다. 어떤 분자가 극성이라는 것은 전체적인 전하의 치우침이 존재한다는 뜻이기 때문이죠.

이를 더 정확하게 알아보려면 쌍극자 모멘트를 합성하면 됩니다. 벡터의 방향은 위의 화살표의 반대 방향이 되겠죠. 

이상으로 분자가 극성인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당

오류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